다문화 학생, 정규 수업 시간 내 '한글 수업' 시 교육청·다문화센터 온라인 동영상으로 대체
학습도 파악 어렵고, 부모 지도 필수 '포스트 코로나 다문화 교육'도 대책 필요 지적도

코로나 19 여파가 다문화 학생들의 한국어 교육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 학교 대부분이 원격수업을 병행하거나 아예 등교를 중지하면서, 교내서 운영하는 한국어 교실, 찾아가는 한국어 교육 등 각종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이 빛을 발하지 못하면서다.

9일 대전시교육청, 대전지역 일선 초등학교에 따르면 한 학급 당 다문화 학생이 5명 이상인 학급은 정규 수업 시간에 해당 다문화 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을 추가적으로 진행한다. 이 교육 사업은 `다문화 정책 학교 한국어 교실`로 현재 이를 진행 중인 대전지역 초등학교는 총 8곳이다. 또 이외 일반 학교에 속한 소수 다문화 학생은 `찾아가는 한국어 교육`으로 학습 공백을 메꿔왔다.

문제는 다문화 정책 교육 학교를 포함해 모든 초등학교가 격주·격일로 원격수업을 병행하면서 발생했다. 등교일이 줄자 `한국어 교실` 운영일도 절반으로 감소했고, 감염 우려로 `찾아가는 한국어 교육`마저도 줄었기 때문이다. 다문화 학생들은 일반 학생보다 추가적인 교육 시간을 확보해야 하지만, 대면 교육일 감소로 한국어 학습에 공백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대전의 한 다문화 중점 학교인 A초등학교 교사는 "다문화 학생들은 일반 학생과 차별화된 책임 교육이 필요하다. 정식 수업은 일반 초등학생 1-2학년을 대상으로 한 국어 문해 교육"이라며 "다문화 아이들은 개인별 한글 수준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맞춤형 한국어 교육 시간이 필요한데, 원격 수업으로는 사실상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다문화 학생들의 한국어 수업을 담당하는 교사들은 그간 등교 연기로 다문화 학생의 한국어 수준 파악이 늦어진 점 등을 학습 공백으로 꼽았다.

다문화 중점 학교인 B초 교사는 "올해는 등교가 늦어지면서 다문화 학생의 한국어 수준 파악도 늦어졌다. 통상 교사가 수업하면서 한국어 능력이 부족한 학생을 파악하고 추가로 교육하는데, 학생을 지속적으로 만나는 게 쉽지 않으니 교육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어가 가능한 다문화 가정 학부모가 직접 교육을 하는 경우도 있으나, 중도입국자·난민처럼 한국에 온 지 얼마 되지 않은 가정은 온라인 지도에도 큰 어려움을 겪는다"고 말했다.

비대면 교육에서 다문화 학생의 한국어 학습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한국어 습득은 곧 다문화 학생들의 학교 적응으로 이어지는 까닭이다.

김영진 대전 교사노동조합 수석 부위원장은 "초등 저학년 때 한국어 교육이 되지 않으면 차후 학년이 올라가서도 학교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경우가 많다"며 "앞으로 비대면 수업의 중요성이 커질텐데, 한국어 학습 공백을 메꿀 방법을 지역 교육계가 함께 강구해봐야 할 때"라고 말했다. 박우경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박우경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