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세종·충남 등 충청권 광역의회가 전반기 2년을 마감지었다. 이때 쯤 되면 지난 2년의 의정활동 성과에 대해 내부 평가가 나온다. 자체 평가인 만큼 대체로 후한 점수를 준다. 우선 대전시의회가 밝힌 여러 성과중 `참여의정과 지방의회 위상 강화`(김종천 의장)에 방점이 찍힌다. 지난 22일 전반기 일정을 끝낸 세종시의회는 `공익가치 실현`(서금택 의장)이라는 수사를 구사한 바 있고 충남도의회에선 "역대 가장 활발한 의회"(유병국 의장)로 규정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시·도 의장단의 이런 `정성 평가`는 수긍될 만한 영역이다. 해당 의회 리더십을 행사는 입장에서 2년 임기 동안의 성과나 실적이 돋보일 수도 있겠지만, 실제로 조례안 처리 등 입법활동, 집행부 견제·감시 등 의정활동에 대한 계량화 수치를 보면 각자 입장에서 내실과 효율성이라는 목표에 집중해왔음이 증명되는 것도 사실이다. 그런 가운데 시·도 의회가 후반기 일정에 돌입한다. 자연히 의장단 선출 등 원(院)구성을 다시 하게 되고 이는 지방의회가 축적하고 학습해온 관행적인 `권력 순환`에 다름 아니라고 볼 수 있다. 이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의장단, 상임위원장단 등 의회 보직을 전·후반기로 나눠 맡는 것은 지방의회 작동의 핵심 시스템이다. 임기 4년을 2년 씩 끊어 놓음으로써 다름 사람에게도 균등한 기회가 보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충청 광역의회의 경우 각 시· 도별 현안사업과 숙원이 적지 않은 현실과 마주하고 있다는 점에서 후반기 2년 의정은 전반기 때보다 더 집중력을 보여야 한다. 무엇보다 대전, 세종, 충남 등이 당면해 있는 현안 사업과 정책 이슈들을 지역 이익으로 `포섭`하는 일이 녹록지 않기 때문이다. 대전·충남의 혁신도시 지정 문제, 세종의사당 건립만 해도 앞으로 광역의회가 더 역할을 해줘야 한다. 그게 빛이 나는 일이든 아니든 지역 공동체 발전과 직결된 이상, 지역민 대의기구의 권능으로서 확실하게 메시지를 발신하는 데 주저할 이유가 없을 것이다. 광역의회가 독한 모습을 보여주면 대(對)정부 협상력은 커지게 돼 있다.

전반전은 무난하게 지나간 마당이고 이제 후반전에서 과실을 쥐기 위해 지혜를 모을 때다. 그 추진동력을 광역의회에서 불어넣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