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2부 문승현 기자
취재2부 문승현 기자
"언급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 대전·세종·충남경제단체협의회가 대전 장대교차로 입체화 촉구 성명서를 발표할 즈음이다. 장대교차로 이슈는 주제에 대한 천착보다 확장이 필요하다 여겼다. 대전 5개구 구청장들에게 전화를 넣었다. 주민을 대표하는 자치구청장으로서 지역 현안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묻고 싶어서였다. 휘발성 강한 문제라 명확한 입장 표명을 기대하지 않았다. 역시나 `관내 일이 아니라서…`라는 반응이 주를 이뤘다. 모 구청장 한 명만 "도시의 장기적인 발전 추세를 감안하면 입체가 옳다. 예산 부담 등 시의 입장도 이해한다"는 솔직한 답변을 내놓았다. 원론적인 양시론에 가깝지만 나머지 4개구 청장과 비교하면 소신 있는 발언이다.

한 곳에서는 "관내도 아니고 답변할 필요성을 모르겠다"고 했다. 이마저 관계부서를 통한 전언이었다. 해당 구청장에게서 직접 들은 말이 아니니 어휘나 행간에서 진의와 차이가 있을 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곧이곧대로 받아들이자면 상당히 당황스러운 언사다. 대전은 단일생활권이다. 5개구로 나뉘었을 뿐 물리적으로 맞닿아있다. 광역시와 광역도의 지리적 범위는 현격히 다르다. 구민이기 전에 대전시민인 150만 인구는 동·중·서·유성·대덕구를 상시 왕래한다. `관내` 운운하는 건 협소한 발상이다. 3개 광역시·도 경제단체는 성명서에서 "장대교차로 건설방식이 논란 끝에 평면교차로로 변경돼 대전 시민사회에 커다란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당초 계획대로 입체교차로로 변경해 줄 것을 촉구하고자 이 자리에 섰다"고 밝혔다. 경제단체가 `시민사회`를 대변하는 이상한 모양새다. 4개구 구청장들의 논리대로라면 이들은 자기 관내도 아닌데, 행정과 경제의 영역은 엄연히 다른데도 뜨거운 논란에 뛰어든 꼴이다. 이들은 무슨 필요성으로 대전시 광역행정에 훈수를 두었겠는가. 수십 만 시민을 각각 대표하는 선출직 기초단체장들에게 정작 시민사회는 온데간데없고 향후 선거를 염두에 둔 협량한 자치구 공화국 행정의 그림자만 어른거린다. 혹여 구를 밟고 일어서 큰 꿈을 꾸는 이가 있다면 그때 가서 시정에 어떤 비전을 제시하고 시민사회와 소통할지 도통 그림이 그려지지 않는다. 취재2부 문승현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