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단절·소음 피해 등 애물단지 전락… 인천·부산·대구 지하화 '잰걸음'

부산시 `철도지하화 등 시설효율화 연구용역` 위치도. 자료=부산시 제공
부산시 `철도지하화 등 시설효율화 연구용역` 위치도. 자료=부산시 제공
정부 예산 가운데 비중이 큰 철도SOC 사업에서 대전이 배제되고 있다.

수도권과 부산, 대구 등 전국의 지자체는 도심 철로 지하화를 추진하고 있는 반면 대전은 관련 연구용역 국비 확보가 지지부진 하는 등 첫 단추도 못 꿰고 있기 때문이다. 그간 대전은 경부선과 호남선이 도심을 관통하면서 소음과 분진을 일으키고 지역간 교류 단절도 초래하는 각종 부작용을 초래해 왔다.

최근 국토교통부는 경인선 지하화 사업 관련 용역을 발주 했다. 서울과학기술대 산학협력단에 `도시재생과 경인선 철도시설의 효율적 연계 방안 사전타당성 조사` 연구용역을 의뢰했다. 인천 중구 북성동1가 인천역에서 서울 구로구 구로동 구로역에 이르는 경인선 27㎞ 구간을 지하화하는 방안에 대해 타당성을 살펴본다. 내년 말쯤 용역이 마무리되면 사업 추진여부가 결정된다.

부산과 대구에서도 도심 단절 해소, 균형발전을 명분으로 내세워 철도 지하화를 추진하고 있다.

부산시는 지난 2월 경부선 철도 지하화 등 시설 효율화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하며 본격적인 논리 개발에 나섰다. 경부선 구포-사상-부산진 구간(16.5km)과 가야차량기지 및 부전역 일원 이다. 2018년 민선7기 공약사업으로 선정한 후 2019년도 정부예산으로 경부선 철로 지하화와 지상 철도부지 재생을 위한 기초타당성 검토용역비 35억 원을 확보했다. 부산시는 내년 6월 마무리되는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타당성 조사, 2022년 기본계획·기본설계, 2023년 실시설계를 거쳐 2024년 착공한다는 구상이다. 올해 하반기에는 지하화 사업에 따른 유휴부지 활용 아이디어 공모도 실시할 계획이다.

대구시도 철도 지하화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서구 상리동에서 수성구 고모동까지 총 14.6㎞로 서대구 고속철도역에서 동대구역 구간이다. 올해 경부선 지하화 사업 타당성 용역비로 20억 원을 확보한 상태다.

대전도 철로 지하화를 통해 지역간 교류와 발전을 도모하고 원도심 활성화를 이끌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현재 서울과 부산을 오가는 경부선은 대덕구 신대동에서 동구 판암나들목까지 13㎞ 구간이 도심 상부를 관통한다. 서울과 전남 목포를 운행하는 호남선은 대전 중구, 서구를 가로 질러 충남 계룡으로 빠져나간다. 대덕구 오정동 대전조차장에서 서대전, 가수원으로 이어지는 호남고속철도 11㎞가 지상구간이다.

곽정호 우송전문대 철도교통학부 교수는 "현재 대전의 도심을 가르는 경부선과 호남선은 소음·분진 등을 일으키는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있다"면서 "철로 지하화를 통해 도심 녹지공간 확보 및 지상 부지 개발을 통한 시민편익 증진과 지역경제 발전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막대한 재정이 투입되지만 철로 지하화는 철도 통로가 전용화 되기 때문에 열차의 표준 속도가 상승하고 안전성도 향상된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대전시는 우선 타당성 확보를 위한 연구용역관련 국비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철로 지하화 관련 자문회의 개최와 약 35억 원 정도의 연구용역비 확보를 위해 국토부와 기재부에 지속적으로 요청하고 있다"면서 "26일에는 관련 정부 부처를 직접 방문해 경부선 철도 노후와 대전 도심을 가로질러 도시 발전에 걸림돌이 된다는 점을 강조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조남형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