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사 이호창 기자
서울지사 이호창 기자
21대 국회 출범 당시 `협치`를 강조한 여야의 다짐이 말뿐으로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다.

총선 직후 여야는 국민의 뜻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서로 협력해 국민을 위한 정치를 하겠노라 다짐했다. 국민들의 표심을 받아들인다고 말 한지 두 달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밥그릇 싸움에 몰두하고 있다. 법제사법위원장을 둘러싼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의 길고 긴 대립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급기야 다수의석을 차지한 민주당은 지난 15일 본회의를 열어 주요 상임위원장을 선출했다. 물론 야당 측의 동의 없이 말이다. 이를 두고 국민들의 시선은 달갑지 않다. 3차 추가경정예산안 처리, 북한 도발 대응방안 등 시급한 사안이 처리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상임위원장 자리를 두고도 서로의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자당의 이익만을 생각하며 국민들 생각은 하지 않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정치권의 이런 현상은 4년 주기로 계속돼왔다. 단적으로 20대 국회의 사례를 들자면 쉽게 풀어나갈 수 있다. 당시 여야는 양보와 배려로 위기를 모면했다. 당시 야당이던 민주당은 다수당에서 의장직을 차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새누리당은 집권여당이 의장을 맡아야 한다고 맞섰다. 양측은 원만한 원구성을 위해 서로 한발짝 물러섰고 의장은 민주당에서, 법사위원장 등 주요 상임위원장은 새누리당이 맡는 걸로 합의했다. 서로 한발짝씩 물러나고 배려하면서 일단락된 것이다.

최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국민의 삶의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6.1점으로 나타났다. 회원국 중 최하위권 수준인 셈이다. 코로나19 사태까지 겹치면서 국민들의 삶의 질 평가는 더욱 하락했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이번 총선에서 국민들은 코로나19 사태에도 불구하고 100명 중 66명은 투표에 참여했다. 준엄한 평가가 따랐다고 할 수 있다. 투표에 대한 관심은 1992년 총선 이후 최고 높다. 그만큼 이번 총선에서 국민들의 메시지는 분명하다는 걸 명심해야 한다. 국민들은 싸우지 않고 일하는 국회를 원한다. 이제는 협치를 전면에 내세워 일 하는 국회가 되길 기대해본다. 서울지사 이호창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호창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