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대전시의회 정례회 3차 본회의 때도 대전시의원들이 시정 현안 질문자로 나섰다. 국회로 치면 의원들의 대(對)정부 질문 패턴과 흡사하다. 지방의회 시정 질문 역시 주요한 회기 일정의 하나로 꼽힌다. 지자체 수장과 실·국 간부 공무원들의 본회의장 출석이 제도적으로 강제되는 만큼 굵직한 현안 사업의 경과나 문제점 등에 대해 심도 있게 캐묻거나 때론 추궁해나가는 데 이만한 기회도 드물다.

어제 대전시의원들 질문 내용은 꽤 돋보였다는 평가를 내릴 만하다. 우선 당면 현안에 대해 시의원 각인이 관심 분야를 나눠 사안의 본질에 접근하려 한 게 주효했던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경제과학부시장 제도 도입 제안(윤용대 의원)의 경우 대전시 현실에 비추어 보면 일리 있는 카드라 할 수 있다. 관행대로 정무부시장으로 칭해도 그만이지만 정무부시장의 직명이 바뀌면 그 직무 적합도를 따지는 과정에서 인사 발탁과 연동되게 된다. 이게 다시 직무 수행의 효율성으로 이어진다고 가정했을 때 `정무`만이 답은 아니라고 본다. 허태정 시장이 이와 관련한 답변에서 `큰 틀에서 검토`라는 표현을 썼는데, 현실에 대한 유연한 반응으로 읽힌다.

코로나 19 사태로 사실상 동력을 잃고 있는 2년차 `대전방문의 해` 극복 방안 질문도 눈길을 끄는 이슈였다. 현재 상황에서 3년째인 내년까지 대전방문의 해를 끌고 가는 것은 회의적이라는 지적이 많다. 일종의 개점휴업을 방불케 하는 상황에서 한시적 정책 슬로건에 매달려 가는 것은 비효율이고 행정낭비에 가깝다. 또 관련 소요 예산을 반대급부 없이 소진한다면 이런 불합리가 없을 것이다. 이에 대해 허 시장의 답변은 충분하지는 못해 보였다. 관광기업지원센터와 트래블 라운지의 8,9월 개관 일정을 밝히며 관광객 증대에 기여할 것이라는 선에 그쳐서다. 특정 이벤트 정책의 실효성 진단이 아쉬웠다 할 수 있으며 점 단위 관광서비스 시설 등이 생기면 대전을 찾는 이가 확 늘어날지도 예단키 어렵다.

이밖에도 서대전복합문화공간 건립(홍종원 의원), 18년 대전 개최 청소년 영화제 장소 변경 문제(우애자 의원)도 시정 질문장의 긴장지수를 높이는 효과가 나타났다. 대전시 집행부가 새겨들었다면 사안의 경중·완급에 따라 실효적으로 움직이는 것은 당연하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