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딜은 미국 제32대 대통령 루스벨트가 대공황을 극복을 위해 추진했던 경제 부흥 정책이다. 당시 미국은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상품 생산이 비약적으로 증가했으나, 구매력은 이를 따르지 못해 재고가 쌓여 갔다. 이때 주가가 폭락하자 1929년 경제 공황이 일어났다. 이에 미 정부는 농업 조정법, 테네시 계곡 개발, 국가 산업 부흥법 등으로 대공황을 극복을 위해 추진했던 경제 부흥 정책이 바로 뉴딜이다. 최근 코로나19로 경제가 한번도 겪어보지 못한 늪으로 빠지고 있다고 판단한 정부도 `한국판 뉴딜`정책을 내놨다. 정부는 한국판 뉴딜을 통해 일자리 55만개 창출, 고용보험 단계적 확대, 취약층 일자리 보강한다는 계획이다. 또 모든 학교 교실에 와이파이를 구축하고 건강취약계층과 경증 만성 질환자를 중심으로 비대면 의료 인프라를 보강하는 등의 `디지털 뉴딜`과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상수도 관리체계 구축, 신생에너지 확산기반 구축 등 `그린 뉴딜`도 포함돼 있다. 이를 통해 올해 경제성장률을 0.1%에서 막겠다는 것이 정부의 의도다. 워낙 경제상황이 엄중하다 보니 정부가 적극적인 재정 투입을 통해 버팀목이 되겠다는 분명한 의지도 보여주고 있다. 현재 코로나19로 전세계가 대재앙을 맞이하고 있는 가운데 유독 저소득층에 피해가 쏠리고 있다. 더 충격적인 것은 빈부의 격차가 생명을 좌지우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에서 벌어지는 유혈시위도 마찬가지다. 흑인이 경찰에 억울에게 죽임을 당한 것이 도화선이 되었지, 근본적인 문제는 미국 국민들의 깊숙한 곳에 자리잡고 있는 빈부 차별에 대한 증오다. 한국도 이런 일이 벌어지지 말라는 법이 없다. 먼저 준비해야 한다. 한국판 뉴딜이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빈부의 격차를 줄일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고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포용국가로 갈 수 있는 지름길이 될 수 있다. 이번 한국판 뉴딜 정책을 경제회복을 넘어 선진 일류국가 도약할 수 있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 위기 뒤에 기회는 꼭 찾아온다. 진광호 지방부 충주주재 부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