엊그제부터 21대 국회의 임기가 개시됐다. 코로나19가 사회 전반을 짓누르는 암울한 상황에서 출범하는 국회의 어깨는 무거울 수밖에 없다. 여야 구분할 것 없이 당장 코로나 국난 극복과 코로나 이후 세계 경제 질서 재편에 슬기롭게 대처해야 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때인 것이다. 4·15 총선에서 나타난 국민의 뜻은 명확하다. 여당에 거대 의석을, 야당에 견제 의석을 나눠준 것은 정쟁은 그만하고 일하는 국회로 거듭나라는 명령이다. 여야도 국민의 뜻을 받들어 일하는 국회를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원내대표의 회동에서도 국난극복을 위해 일하는 국회가 절실하다는데 공감대를 이룬 것은 핵심이 무엇인지 잘 보여준 대목이다.

하지만 절박한 상황과는 달리 여야는 원 구성 문제로 갈등을 빚고 있다. 원 구성이 돼야 21대 국회가 개원할 수 있지만 법사위원장과 예결위원장을 어느 당이 차지하느냐를 놓고 맞서 있다. 국회법에 따라 5일에 국회의장단을 뽑는 동시에 개원식을 하고, 8일까지 상임위원장을 선출해야 하지만 현 추세라면 법정시한 준수도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국회의 시간이 그리 충분치 않다는 점이다. 조만간 정부가 제출할 제3차 추경안은 시급을 다툰다. 추경에 담길 고용 및 사회안전망 강화, 소상공인 및 기업에 대한 금융 지원, 내수·수출 활성화, 한국판 뉴딜 프로그램의 조기 착수 등의 예산은 경제위기 극복과 포스트코로나 시대 선도를 위한 것이다. 하루라도 빨리 국회를 통과해 집행해야만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미 전국민에게 지급한 긴급재난지원금의 사례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의 조짐을 목도한 바 있다.

21대 국회가 일하는 국회라는 국민적 요구를 수용하지 못하고 다시 20대 국회와 같은 정쟁을 일삼는다면 국민들의 정치 불신은 더욱 커질 것이다. 20대 국회의 부끄러운 장면들을 떠올리면 21대 국회의 답이 나온다. 역대 최악의 국회라는 오명을 얻은 20대 국회의 악습을 청산하고 협치와 민생에 주력하는 정치문화를 만들어내는데 합심해야 한다는 얘기다. 대부분의 국회의원들은 임기에 돌입하면서 자신의 SNS 등을 통해 21대 국회에 임하는 각오를 내비쳤다. 부디 그 초심을 잊지 말고 일하는 모습으로 국민에게 보답하길 바란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