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뇌연구원·포스텍 연구진, 마약 중독의 개인차를 유발하는 핵심 분자 생리 기전 발견

약물 중독 마우스와 비 중독 마우스의 콜린성 뉴런에서 일어나는 생리학적 변화 모델. 자료=KBRI 제공
약물 중독 마우스와 비 중독 마우스의 콜린성 뉴런에서 일어나는 생리학적 변화 모델. 자료=KBRI 제공
마약에 중독되는 이유가 특정 신경세포군의 스위치 역할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뇌연구원(KBRI)은 포스텍 김정훈 교수 및 이주한 박사, 한국뇌연구원 구자욱 박사, 미국 마운트사이나이 대학 등이 참여한 공동 연구팀이 코카인 중독에 콜린성 뉴런의 도파민 D2타입 수용체(DRD2)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을 발견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정신의학 분야의 대표적 학술지인 생물정신의학(Biological Psychiatry) 5월호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코카인을 자가 투여하는 마우스 모델에 전기생리학적, 광유전학 기법을 적용한 연구를 통해, 중독에 취약한 마우스의 대뇌 보상회로 중격의지핵 내 콜린성 뉴런에서 DRD2라는 도파민 수용체 유전자가 과발현하는 것을 발견했다.

똑같이 코카인을 투여하더라도 중독에 취약한 마우스에서만 콜린성 뉴런에서 DRD2 발현량이 증가하고 세포활성이 상대적으로 감소했다. 이는 콜린성 뉴런에 발현된 도파민 D2타입 수용체가 뉴런 스스로의 활성을 저하시켰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전을 통해 중격의지핵 내에 1-2%로 존재하는 콜린성 뉴런이 주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간돌기뉴런의 활성을 다양한 방향으로 조절함으로써 중독에 취약하게 만드는 것이다.

한국뇌연구원과 포스텍 공동 연구진은 "개체간 콜린성 뉴런 내 유전자 발현 양상을 전유전체 수준에서 탐색함으로써 중독 연구의 새로운 분야를 개척했다"며 "왜 중독 취약성 개체군에서 DRD2가 더 많이 발현하는지 세부적인 분자기전뿐만 아니라, 이를 조절하는 후보 약물의 효용성을 후속 연구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한편, 약물 중독은 약물(마약류)을 강박적으로 찾고 사용하는 행동을 보이는 정신질환으로, 대인관계 문제, 신체적 피해 등으로 이어지면서 큰 사회적 비용을 낳는다. 대마, 코카인 같은 마약류가 체내에 들어가면 뇌의 보상회로 내 도파민 농도를 직접적으로 증가시키고, 도파민 수용체를 활성화시켜, 약물에 대한 갈망을 일으킨다. 도파민은 `쾌락 호르몬`이라고도 불리며, 우리가 보상을 받거나 중독성 약물에 노출될 때 뇌내에서 분비되는 신경전달물질이다. 조남형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