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의회 의원들이 주도하는 각종 연구모임이 잇달아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지난 22일엔 충남도의회 `상가 브랜드화를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모임`이 발족식을 갖고 활동을 시작한 모양이다. 이 모임 대표를 맡은 조승만 의원은 "현재 원·구도심 할 것 없이 상권이 침체돼 많은 소상공인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면서 "상가 경쟁력을 높이고 상권이 활기를 띄기 위해 그에 걸맞은 브랜드화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고 한다. 이 모임의 성격과 향후 활동방향 등을 짐작케 하며, 코로나19 사태 이후 소상공업계가 침체일로를 걷고 있는 현실을 직시한 행보로 여겨진다.

이 모임 말고도 충남도의회 내엔 의원 연구모임 단체가 여럿 있다. 한발 앞서 지난 18일엔 충남도의회 `농수산업의 6차 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모임`을 띄웠는데 농어업인 소득 증대와 농어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연구 활동을 표방하고 있다. "지역 맞춤형 농수산업의 6차 산업 활성화 방안이 마련되면 농어촌 지역 경쟁력 강화 및 소득증대와 함께 일자리 창출을 통한 인구 유입 효과가 기대된다"는 게 이 모임을 대표하고 있는 전익현 의원의 설명이다. 또 지난 2월 공식 활동이 종료된 충남도의회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 연구모임`도 빼놓을 수 없고 충남도의회 `지역 성평등지수 향상을 위한 정책 연구모임`도 꾸준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창립 1년을 훌쩍 넘긴 충남도의회 `제대로 교육 연구모임`의 경우도 특기할 만한 단체로 꼽히고 있다.

이들 연구모임은 개별 상임위 소속 의원들이 주도해 이끌고 있는 게 특색이며 이는 의정활동의 외연 확장을 꾀하면서 주민들이 실생활에서 겪고 있는 애로점과 고충을 정책적으로 수렴하려는 능동적 시도라는 점에서 평가에 인색할 이유가 없어 보인다. 지방의회가 주민 삶을 대변하다고 해도 일정한 한계가 따를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그런 사각지대를 연구모임을 통해 보충할 수 있다면 권장할 일임이 분명하다 할 것이다.

한편으론 우려의 시각도 있을 수 있다. 연구모임이 의정활동의 보완재로서 기능할 수는 있지만 그 결과물이 최종적으로 정책과 제도로서 뒷받침되지 못하면 전시용으로 비칠 소지가 있음을 경계해야 한다는 얘기다. 그래서 타이틀보다 내실을 기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