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시휴직자 3월 161만 명, 4월 149만 명 사상 최대치 기록
"특단의 대책 없으면 불평등 심화"

코로나19에 따른 고용충격이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와 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 더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노동사회연구소가 18일 발표한 `코로나 위기와 4월 고용 동향`을 보면 지난달 국내 취업자 수(계절 조정 자료 기준)는 2650만 명으로, 코로나19에 따른 고용 충격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직전인 올해 2월(2752만 명)보다 102만 명 감소했다.

IMF 외환위기 당시 고용 충격이 본격화하기 직전인 1997년 12월 취업자 수는 2122만 명이었는데 2개월 만인 1998년 2월에는 2030만 명으로, 92만 명 감소했다.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고용 위기 첫 2개월의 취업자 감소폭이 IMF 외환위기 첫 2개월을 넘어선 것이다.

외환위기 첫 두 달 감소한 취업자 수(92만 명)보다도 높은 감소폭이다. 노동사회연구소는 통계청이 계절적 요인을 통제하기 위해 월별 취업자 증감을 전년 동월 수치를 기준으로 산출하는 것과는 달리, 올해 2월과 4월을 비교했다고 설명했다.

노동사회연구소는 "요즘처럼 코로나 위기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이 초미의 관심사일 때는 `전년 동월 대비`보다 `전월 대비` 또는 `2월 대비` 자료가 적합하다"고 밝혔다.

노동사회연구소에 따르면 외환위기 때 14개월 동안 취업자 수가 160만 명 감소했다. 앞으로 코로나 위기에 따른 취업자 감소폭은 외환위기 때를 크게 넘어설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코로나 위기로 올해 2-4월 취업자 감소폭을 성별로 보면 여성(62만 명)이 남성(40만 명)보다 컸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44만 명)이 가장 많고, 15-29세(21만 명), 50대(19만 명), 30대(18만 명), 40대(16만 명) 순으로 모든 연령층이 타격을 받았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시직이 45만 명 줄어 감소폭이 가장 컸다. 산업별로는 숙박음식점업(20만 명),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13만 명), 교육서비스업(10만 명), 농림어업(10만 명), 협회단체수리기타개인서비스업(8만 명), 건설업(8만 명), 공공행정국방사회보장행정(8만 명) 순으로 취업자가 감소했다.

취업자 수와 주당 노동시간 감소로 주당 총 노동시간(취업자수×노동시간)은 2020년 2월 10억 7084만 시간에서 3월 10억 1913만 시간으로 5171만 시간(-4.8%) 감소했고, 4월에는 9억 5889만 시간으로 다시 6024만 시간(-5.9%) 줄었다.

노동사회연구소는 "코로나 위기에 따른 일자리 상실은 여성, 고령자, 임시일용직, 개인서비스업과 사회서비스업, 단순노무직, 서비스직 등 취약계층에 집중되고 있다"며 "특단의 대책이 없다면 앞으로 한국 사회의 불평등을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용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용언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