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정부 지원과는 별도로 지급한 `대전형 긴급재난 생계지원금`이 지역경제에 효자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사태가 100일 넘게 지속되면서 대전지역 상권이 몰락해가고 있다시피 한가운데 희망적인 소식이 전해져 여간 반가운 게 아니다. 시가 민생안정 시책으로 추진한 생계지원금 지급 사업이 코로나로 어려움에 봉착한 시민에 생활비 부담도 덜고 침체된 지역경제에도 활기를 띠게 할 마중물이 된 셈이다.

코로나가 한창 기승을 부린 지난 3월만 해도 대전지역의 전체 상권 매출이 20%나 감소해 암울한 상황을 맞이하기도 했다. 학원이나 의류, 대형유통업은 타 업종과 달리 매출이 반 토막 나면서 최악의 위기로 치달았다. 그러던 중 지난달 13일부터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에 지급해온 생계지원금이 지역상권 매출 회복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달까지 지급된 생계지원금 339억 2000만 원 중 절반에 가까운 42.2%인 142억 7000만 원이 소비됐다고 한다. 5월 말까지 신청할 수 있는 생계지원금은 30만 원에서 70만 원까지 선불카드로 지급되고 오는 7월까지 사용해야 된다.

매출 자료를 분석해 보니 하루 평균 7억 9000만 원씩 소비된 꼴이다. 주로 편의점과 슈퍼마켓 등 소매점에서 가장 많이 썼고, 식음료품 구입이나 일반 음식점, 의료기관, 의류 구입 등에 쓰였다. 대전 5개 자치구 중에서는 동구 소비액이 가장 많았다. 반가운 건 대전지역 첫 코로나 확진자가 나온 2월 대전 전체 매출이 지난해보다 29.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3월과 4월 감소폭이 줄어들면서 지역 내 소비가 점차 회복되고 있다는 점이다. 생계지원금 지급 이후 매출 감소폭이 줄어들거나 평년 수준을 회복한다든지 하는 현상들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문제는 이런 현상이 오래가지 않을 것이란 점이다. 선불카드로 지급된 생계지원금을 사용하지 않으면 반납케 돼 있어 반 강제 사용이나 다름없는 일시적 현상 때문이다. 생계지원금의 사용 가능 매장이 한정돼 있는 것도 지역 상권 회복에 걸림돌로 작용한다. 무엇보다 정상적 경제활동의 결과물이 아니란 점도 그렇다. 차분하게 침체된 업종을 분석하고 맞춤형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것만이 상권을 되살리는 길이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