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혁신도시 입지가 동구 대전역세권지구와 대덕구 연축지구로 결정됐다. 그동안 8개 지구가 후보지로 거론됐지만 원도심 활성화와 동서균형 발전, 국토부의 선정 지침과 연구용역 결과 등을 바탕으로 평가한 결과 이들 2개 지구가 비교우위에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한다. 무엇보다 혁신거점으로서의 발전 가능성을 비롯해 도시개발 적정성, 동반성장 가능성 등이 감안됐다는 것이다. 대전시는 오는 7월 국토부에 혁신도시개발예정지구 지정 신청을 하고 본격적인 공공기관 유치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대전시의 구상은 대전역세권지구에 중소기업·교통·지식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해 원도심 도시 경쟁력을 높이고, 연축지구에 과학기술 클러스터를 조성, 지역 발전을 견인하겠다는 것이다. 역세권은 이미 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된데 이어 민간 지식산업특화단지 착공을 앞두고 있고, 대덕연구개발특구와 인접한 연축지구는 도시개발사업과 대덕구청 이전이 예정돼 있다. 이들 지구의 특장점을 제대로 살리면 도시균형발전과 일자리 창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관건은 공공기관 유치다. 아직 국토연구원의 혁신도시 성과 평가 및 정책지원 용역과 정부의 수도권 공공기관 추가 이전 방향이 설정되지는 않았지만 시는 나름대로 대상기관 유치에 공을 들여왔다. 역세권에는 중소기업은행, 중소기업유통센터, 한국벤처투자를 비롯 코레일관광개발, 코레일네트웍스, 코레일유통과 한국발명진흥회, 한국지식재산보호원, 한국특허전략개발원 등을 노리고 있다. 연축지구에는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나노기술원,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등의 입주를 원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기관이 모두 대전에 올 것이라고 장담하기는 이르다. 기존 혁신도시도 공공기관 추가 이전에 눈독을 들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정치적·지역적 논리가 개입되지 말란 법도 없다. 여러 난관을 이겨내고 원하는 공공기관을 유치하려면 대전시의 치밀한 유치 전략과 지역 정치권, 지역민이 힘이 모아져야 한다. 입지의 우월성만 앞세워 감이 떨어지기를 기다리면 성과를 거둘 수 없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시는 이전 대상기관과 교분을 두텁게 하는 등 우호적 환경 조성을 강화하면서 더욱 긴장의 끈을 조이기 바란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