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 2부 김대욱 기자
취재 2부 김대욱 기자
대전 대덕구는 늘 `소외`라는 꼬리표를 떼지 못했다. 대전 도심을 논할 때 흔히 쓰는 `동-서 간 격차`처럼, 대덕구만 유독 적고 부족했던 도시인프라가 그렇게 인식을 만들었다.

교육 분야도 이 말의 적용이 가능했다. 공립 단설 유치원은 대덕구만 없다. 동구가 3곳, 중구와 서구가 각각 2곳, 유성구도 3곳이나 있는데 말이다.

불행 중 다행은 대전시교육청이 2015년부터 이 지역에 단설유치원 건립을 추진해왔다는 점이다. 석봉동 신탄진초 유휴교실을 개량할 요량으로 내년 초 공사를 마치고 3월 개원할 예정이다. 물론 5년 씩이나 지을 정도로 큰 공사는 아니었다. 그동안 짓지 못했을 뿐이다. 반대하는 목소리가 있었다. 주체는 인근 사립유치원들이었다. 공립 단설유치원이 들어서면 `공멸`을 초래할 수도 있다는 게 그들의 주장이었다.

표면상으로는 사립유치원이 이기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겠다. 그런데, 그들이 내세운 주장과 근거는 제법 일리가 있다. 우선 원아가 크게 줄었다. 인근 한 사립유치원은 정원 140명 중 6명만이, 다른 사립유치원은 180명 중 107명만이 등원하고 있었다. 사립유치원뿐인가. 공립 병설유치원 3곳의 등원율도 80.4%, 61.5%, 22.7%에 불과했다. 안 그래도 학령인구감소로 원아들이 줄고 있는데, 굳이 단설유치원을 세워 사립 유치원들의 형편을 어렵게 만드는 이유가 무엇이냐는 게 사립유치원들의 논리다.

시교육청도 핏대를 세우고 있다. 대덕구만 단설 유치원이 없다는 점은 지역별 형평성에 위배되고, 내년까지 신규 공동주택 3곳의 입주가 예정돼 그에 따른 교육 수요를 충당해야 하기 때문이다. 교육당국이 내년까지 전국 국·공립 유치원 비율을 40%까지 달성하겠다고 한 목표도 영향을 끼쳤다. 여하튼 단설유치원 건립 추진을 강행한다니, 인근 사립유치원과의 갈등은 더욱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조율과 설득이 필요한 때다. 일종의 `밥그릇 싸움`으로 프레임을 씌우지 말고 모두가 수긍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서로 주장만 펼치기보다 터 놓고 협의점을 모색해야 한다. 교육이 `제로섬게임`으로 전락해선 안된다. 취재 2부 김대욱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