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2부 문승현 기자
취재2부 문승현 기자
"명함에 휴대전화 번호가 있네요?" "네. 그런데 뭐가 잘못된 건가요?" 올초다. 대전시 출입기자로 허태정 시장을 처음 만난 상견례 자리였다. 내가 먼저 물었고 시장도 의아해했다. 다른 시·도지사 사례를 얘기했다. 휴대폰 번호 공개는 흔치 않다고. 허 시장은 "지자체장이라고 폰 번호 공개하란 법도 없으니 그럴 수 있겠네요"라며 "번호 공개하면 민원 전화 엄청 올 거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실제로는 안 그래요. 요즘 시민들 시장 폰 번호 관심조차 없습디다. 그리고 전화 받으면 되지 뭐 어렵나요"라고 했다. 폰 번호 공개 정도 가지고 목민관(牧民官) 운운할 순 없지만 신선했다.

"제가 말실수 한 거 있었어요? 어떻게 대응했기에 이런 기사가 나오느냐고 하도 뭐라고 해서…" 얼마 전 시정 현안 하나를 깊이 판 적 있다. 시로서는 편치 않은 기사다. 그랬더니 실무진이 윗분으로부터 지청구를 들었다는 하소연이다. 논리와 명분을 논하는데 감정부터 앞세우니 답답할 노릇이다. 직업이 간부인 일부 공무원들 수준이다. 9급으로 시작해 5급 사무관 달아보겠다고 20-30년 애면글면하는 이들이 태반인데 누구는 세월 지나면 과장(4급), 국장(3급)을 단다. 이해관계자가 아니면 알기 어려운 일부 업무 직렬 간부들은 아예 성을 쌓아올린다. 시민 알권리를 위한 취재에는 찧고 까분다며 팔짱 낀다. 뭘 아느냐는 식이다. 알량한 그 전문지식과 식견이 유성복합터미널과 대전역세권 개발 등 지역 장기과제를 여태껏 `장기미제`로 남게 한 것은 아닌지 묻고 싶다.

이와 별건으로 기사에서 시를 인용해 `껍데기`라는 표현을 썼었다. 알 만한 사람은 다 아는데 정작 당사자만 모른다. 인사철이라 꽃보직 알아보느라고 혹은 많이 배우고 재산도 많아 그런지. 도통 남의 말 듣질 않는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 재물을 다하지 않고 남김을 두어 백성에 돌아가도록 한다(留不盡之財 以還百姓)는 추사(秋史)의 추상 같은 옛 말씀도 부질없다. 하긴 폰 번호라도 알아야 고언을 할 텐데 당최 아는 이가 없다. 이런 직업 간부들에게 임기반환점에 접어든 시장의 영(令)이라는 게 서기는 하는 것인지 궁금해진다. 취재2부 문승현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