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4개 시도가 공동개최를 추진했던 아시안게임이 무산되면서 대전시 주력 사업들도 덩달아 힘이 빠졌다.

특히 새 야구장인 베이스볼드림파크에 부지를 내줬던 한밭종합운동장은 이전시기와 건립 규모가 애매모호해졌다.

대전시는 당초 아시안게임 충청권 공동유치를 전략으로 내세워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여있는 학하동 100번지 일원에 서남부종합스포츠타운을 조성하고, 이곳에 종합운동장을 이전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명분으로 내세웠던 아시안게임 유치에 실패하면서 한밭종합운동장 주경기장 이전 사업은 또 다시 표류하고 있다.

27일 대전시에 따르면 종합운동장을 철거하는 2022년 4월부터 충남대와 대전체고 시설을 육상경기장으로 활용하고, 월드컵경기장을 코레일 축구단 경기장으로 사용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충남대의 기존 시설에 트랙과 필드, 경기장 조성 등에 예산 14억 원을 책정했으며, 육상연맹은 시에 엘리트선수 육성을 위한 장비창고, 웨이트 트레이닝 공간, 화장실 등 시설확충을 요구한 상태다.

시는 2029년 유니버시아드대회 또는 2034년 아시안게임 등 국제대회 유치에 성공할 경우 종합운동장 이전 사업을 재추진하고, 실패시 서남부 2단계 부지면적 18만㎡에 당초보다 규모를 축소해 추진할 예정이다. 30만㎡ 이하의 개발제한구역에 대해서는 시도지사에게 해제 권한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향후 국제대회 유치 여부가 불투명한데다 코로나19라는 유례 없는 변수로 지자체의 예산부담이 커지면서 이전 사업은 차질을 빚게됐다.

이광진 경실련 사무처장은 "아시안게임 유치가 실패했을 경우에 대비한 플랜 A, B, C가 있어야 하는데 대전시의 현 대책은 관행적 대책, 땜방식 정책밖에 안된다"며 "지자체 사업에 자문하는 전문가들도 제대로 해야 한다. 일방적으로 지자체 손들어주기 식 자문은 `뜬구름 잡기식` 대책밖에 안된다"말했다.

지역 체육계 관계자는 "종합운동장 이전사업이 추진력을 얻기 위해서는 지자체의 적극적인 자세가 선행돼야겠지만 이용주체의 노력도 필요하다. 종합운동장은 선수들의 훈련만을 위한 공간이 아닌 주민들이 일상적 생활에도 사용할 수 있어야 하는데, 기존의 한밭종합운동장은 시민개방률이 상당히 저조해 지역기여도가 낮은 편이었다"며 "선진국형 체육은 엘리트 체육에 국한되지 않고 지역사회와 공존하는 모습이다. 육상계 등 이용주체들도 먼저 시설활용방안을 제시하는 등 지역체육계 발전을 위한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수연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조수연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