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인의 열망이 담긴 `2030충청권아시안게임` 유치가 무위에 그칠 공산이 크다고 한다. 정부가 충청권 유치를 승인하지 않으면서 어제까지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에 유치의향서를 제출하지 않아 사실상 유치가 무산되다시피 했다. 아시안게임 유치를 통해 새롭게 도약하려던 충청권 4개 시·도의 기회가 날아간 꼴이 됐다.

아시안게임 충청권 유치안이 지난 10일 대한체육회 대의원총회를 무사히 통과할 때만 해도 별 탈 없이 무난하게 유치할 거란 기대감에 부풀었다. 유니버시아드급 이상의 국제경기대회를 치러본 적이 없는 충청권으로선 1993년 대전엑스포 이후 37년 만에 메가톤급 이벤트로 삼고 4개 시·도가 유치에 공조했다. 순탄하게 진행되는 듯하던 유치에 갑자기 돌발 변수가 생긴 건 OCA가 8년 전 개최도시를 확정하던 방침을 바꿔 2년을 더 늦춰 올 11월 후보지를 정하겠다고 나서면서부터다. 그러면서 어제까지 유치의향서를 제출해 줄 것을 각 국가올림픽위원회(NOC)에 요청한 것이다. 이에 따라 충청권은 서둘러 문화체육관광부에 유치신청서를 제출했지만 문체부가 세부 보완을 요구, 보완 보고서가 OCA 접수 이틀 전에 제출됐다.

하지만 문체부는 경기장 신축 등 전체 사업비를 추정하는데 구체적 소요예산 등 보완서류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다며 충청권 유치를 승인하지 않으면서 OCA에 유치의향서도 접수하지 못하는 상황을 맞이하게 됐다. 정부의 심의시간 부족을 이해 못하는 건 아니다. 개최도시 결정 시기가 변경되면서 대회 준비 기간이 부족한 점도 있지만 정부가 국제대회 유치에 너무 소극적으로 대처했다는 지적이 나오기도 한다. 코로나 정국의 어수선한 상황에서 아시안게임 국비지원 예산을 시간이 촉박하다는 이유로 소홀하게 다루지는 않았는지 되짚어볼 대목이다. OCA 선 접수 후 미비사항을 보충하는 운영의 묘를 살리지 못한 게 안타깝다.

충청권아시안게임을 통해 2032년 남북 올림픽 공동 개최에 따른 사전 점검의 기회로 삼으려던 계획에도 차질이 생기게 됐다. 모처럼 충청권이 하나 된 모습을 보여줬지만 무위로 결론 나 아쉽기 짝이 없다. 세계 과학도시, 행정도시 완성을 통해 아시아의 중심으로 우뚝 서려던 기회가 무너졌지만 충청권이 또다시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해야 하겠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