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가 지속되면서 대전지역 상권 매출액이 급락했다는 소식이다. 대전시가 3월 한 달 업종별 매출액 변화를 비교 분석한 결과 전체 매출액이 20% 감소했다고 한다. 학원이나 의류, 대형유통업의 매출은 이보다 더 많은 절반가량이 반 토막 났다. 어느 정도 예견된 일이긴 하나 이보다 더하면 했지 덜하지 않을 것이란 점에서 구제의 손실이 시급해 보인다.

대전 상권의 지난해 3월 총매출액은 6868억 원이었으나 코로나 여파로 1360억 원이 줄었다. 외부활동을 자제토록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을 벌인 탓이 크다. 외출하지 않고 집에서 숙식과 문화생활을 해결하는 이른바 `방콕` 문화가 성행하면서 연료판매업과 전자제품업, 식음료업의 매출은 오히려 증가해 대조를 이뤘다. 한 달 전 조사(빅데이터 분석)에서도 저녁시간 대전 유동인구가 확진자 발생(2월 21일) 이전보다 최대 44%가 줄었다. 여기에 확진자 동선에 포함된 지역의 카드 승인 금액도 최대 55% 이상 떨어져 코로나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여파가 상상을 초월하고도 남음을 알게 해 준다. 대전 5개 자치구 중에서는 상권이 잘 형성돼 있는 중구의 매출 감소율이 가장 높고 동구, 유성구, 서구, 대덕구 순이다.

상권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선 세금 감면, 납부기한 연장이나 각종 지원책 신청절차 간소화와 신속한 지원, 대출부담·대출조건 완화, 피해 사업장에 대한 직접 지원 확대 등과 같은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하지만 어느 것 하나 속 시원하지 못하다는 게 중론이다. 소상공인이 신청한 고용지원금의 경우 피해 입증과 근로시간 증빙 등이 복잡한 데다 완화했다던 지원 조건마저 까다로워 지원받기가 여간 힘든 게 아니라고 한다. 지원금 제도를 활용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다면 절차를 더 간소화한다던지 개선하는 건 당연하다.

대전뿐 아니라 전국의 상권이 위기상황으로 치닫고 있는 건 마찬가지다. 이런 상태가 6개월 이상 지속될 경우 폐업이 속출할 것이란 전망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해결책이 보이지 않는다는 게 답답할 노릇이다. 코로나가 국민의 삶을 벼랑 끝으로 내몰고 있는 것만은 분명하다. 몰락 위기에 처해 있는 지역 상권을 보호하기 위해선 피해가 더한 업종을 중심으로 선별적 지원 대책이 마련돼야 하겠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