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코로나19와 관련, 전 국민의 외출 자제와 종교·체육·유흥시설 등의 운영을 제한하는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내달 5일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당초 생활방역 전환 목표치인 신규 확진자 50명 이내, 감염경로 미파악자 비율 5% 이내를 달성했지만 무증상 확진자와 재확진 사례가 거듭되고 소규모 지역사회 감염도 이어지고 있음을 감안한 조치라고 한다. 지난달 21일부터 시행된 사회적 거리두기에도 불구하고 안심할 상황이 아니라는 당국의 판단에 대한 찬반 논란도 있지만 공동체사회를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 아닌가 싶다.

한 달에 걸친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은 일상생활에 많은 불편과 부작용을 초래했다. 그 중에서도 소상공인이나 자영업자 등의 생계가 나락으로 떨어진 점이 가장 큰 문제로 꼽힌다. 정부가 거리두기를 연장하면서 종교·유흥·체육·학원 등 4대 밀집시설에 대해서는 현재 방역지침 준수 명령을 유지하되 운영중단 강력권고는 해제한 것도 이를 감안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집단감염의 우려는 여전하지만 업주들의 생업을 보장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외면하기 어려웠을 것이란 추론도 가능하다. 정치권은 이런 정부의 방침을 외면해선 안 된다. 신속하게 국회를 열어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방안을 결정해야 한다. 여야는 총선 과정에서 소득하위 70%에 한해 지급한다는 정부 방침과 달리 모든 국민에게 지급한다는 약속을 한 바 있다. 줄어든 가계수입을 보전하고 소비를 촉진하기 위한 마중물의 성격을 지닌 만큼 지급시기가 늦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명심했으면 한다.

지난 9일 이후 확진자수가 최근 1주일 연속 30명 이하를 유지하고, 어제는 한 자릿수로 뚝 떨어졌다. 최근 2주간 감염경로 미파악자 비율도 3.1%에 그쳤다. 이를 보면 생활방역 전환 시점이 다가오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하지만 방심은 금물이다. 인내가 필요한 시기다. 아직 방역망 밖에서 확진사례가 산발적으로 발생하고 있고, 코로나19 백신 개발이 이뤄지기 전까지는 악화와 완화를 반복하면서 장기 유행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사회적 거리두기와 무관하게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고 다중집합장소를 피하는 등의 예방수칙을 준수해야 하는 이유다. 기간 연장에 따른 피로감과 경각심이 무뎌지는 것도 경계해야 함은 물론이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