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총선 정국 전망

[연합뉴스]
[연합뉴스]
21대 총선이 유례 없는 거대 여당 출현과 통합당의 몰락으로 결론나면서 `포스트 총선`정국은 전혀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게 될 전망이다.

16일 여의도 정가에 따르면 우선 국회선진화법을 무력화할 수 있는 의석 수를 확보한 집권 여당에선 국회 운영에 있어 보다 과감하게 입법 드라이브를 걸 수 있게 됐다. 당장 문재인 대통령이 총선직후 코로나19 여파에 다른 각종 재난지원금을 골자로 한 2차 추경을 예고했었던 만큼, 임시국회에서 논의될 추경 처리를 보다 주도적으로 할 것으로 보인다. 오는 7월로 예정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출범과 검찰개혁에도 더욱 탄력을 받을 수 있게 됐다.

다만 20대 국회에서 중재자 또는 캐스팅 보트 역할을 했던 제3세력의 존재감이 미미해지면서 민주당과 통합당간 강 대 강 대치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실제로 공수처와 관련, 통합당은 그동안 공수처 법안 폐지 등을 1호 공약으로 내세웠으며, 권력비리 의혹을 겨냥한 국정조사와 특검 등도 예고해왔다. 또한 통합당이 선거참패 후폭풍에 휩싸이면서 2차 추경과 관련해서도 제 역할을 할 수 있을 지도 미지수다.

원내 1·2당의 당내 권력지형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특히 선거결과에 따른 대선주자들의 거취와 맞물려 당권경쟁이 본격화될 경우 집권 여당의 단일대오가 무너지거나, 통합당의 재건에도 불협화음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 주목된다.

민주당은 이낙연 당선자의 행보가 최대 관심사다. 이번 총선에서 보수야당 대권주자인 황교안 후보를 꺾은데다, 당내 코로나19국난극복위원장이자 선거대책위원장으로서 맹활약해 당내 독보적인 위상을 갖고 있다. 이해찬 대표의 임기가 끝나는 8월 새로운 당대표를 선출하기 위한 전당대회가 예정된 가운데, 이 당선자의 도전가능성이 점쳐지는 상황이다. 이 당선자의 경우 인지도나 지명도에 비해 당내 입지 및 세력이 부족한 것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 있는데, 당권을 잡게 되면 안정적인 당내 입지를 구축할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도 코로나19 사태 속 존재감을 보였던 이재명 경기지사와 박원순 서울시장 등 여권의 차기 대선 주자들의 경쟁도 총선 이후 본격화할 가능성이 크고, 총선에 출마했던 또 다른 잠룡들도 움직일 여지가 있다는 관측이다.

통합당에선 황 대표가 총선 패배에 책임을 지고 물러나면서 곧 당권경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번 총선에서 공천탈락에 반발해 무소속으로 나와 국회 입성을 확정 지은 홍준표 전 대표는 당선 첫 일성으로 통합당 복당 후 대권 도전을 선언했다. 역시 무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된 김태호 당선자도 복당 후 당권 및 대권에 도전할 태세다. 물론 황 대표가 선거기간 중 `무소속 출마자의 복당 불허`입장을 수차례 밝혔지만, 그의 사퇴로 상황이 달라진 만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번 선거를 진주지휘했던 김종인 총괄선대위원장의 거취도 관심사다. 그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총선 이후`의 역할에 대한 질문을 받고 "선거 끝남과 동시에 나는 원래의 위치로 돌아갈 것이라는 걸 분명히 했다"고 밝혔으나, `당의 요청시 역할을 할 생각이 있느냐`고 묻자 "그런 건 아직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서울=송충원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