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살아가면서 수많은 약속을 한다. 무릇 사소한 약속일지라도 함부로 하지 말고 한 번 한 약속은 목숨처럼 소중하게 여겨야 한다는 점은 동서고금의 역사다.

승자와 패자가 가려진 선거가 막을 내렸다. 지난 선거 기간 유권자들의 귓전을 스쳐간 약속은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살리겠다`는 후보자들의 공약이었다.

여야 구분 없이 코로나19 사태로 신음하는 소상공인·자영업자를 위한 약속을 쏟아냈다. 생업안전망 구축과 자생력 강화를 외친 집권 여당, 세제현실화·노동 분야 유연성 반영에 방점을 찍은 원내1야당 까지.

각론은 달랐지만 `소상공인의 아픔을 어루만지겠다`는 총론은 같았다.

그러나 현장의 목소리는 괴리감이 느껴진다. 지역의 한 소상공인은 "이번 공약도 지난 총선과 마찬가지로 특별한 정책이 보이지 않아 재탕 수준"이라고 평가절하했다.

약속에는 자신 또는 특정 집단의 상황과 이익이 투영될 때가 많다. 바뀐 이해관계로 약속이 깨지는 경우가 생긴다.

정치인들은 선거 때만 되면 공약을 내놓는다. 달콤한 `말의 성찬`은 선거 종료 후 흐려진다. 정치인들의 약속이 빌공(空)라는 조롱이 나오는 이유기도 하다.

혹자는 `여의도라는 공간에선 우리말 문법이 통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계산기조차 두드려보지 않은 설익은 약속이 난무하고 공약 실천 `의지박약`이 대다수기 때문이다.

문제는 실천이다. 정부와 지자체가 마련한 소상공인 지원 방안은 차치하더라도 국회 차원의 적극적인 움직임이 필요하다.

적재적소의 지원 대상을 정하는 건 지자체의 몫이라 치고 유권자의 선택을 받아 여의도에 입성한 국회의원들은 소상공인 등의 눈물을 닦아주기 위한 중장기적 대책 또는 제도 마련에 나서야 한다.

당선증에 기뻐하는 건 짧으면 짧을수록 좋다. `빚으로 버틴다`는 소상공인·자영업자들을 위해 신발 끈을 조여 매길 바란다.

4년 후에도 국민은 하염없이 국회만 쳐다본다는 씁쓸한 결론은 없어야 한다.

취재2부 김용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용언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