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진자가 줄고 있지만 완치 후 재확진자가 속출하고 있다는 반갑지 않은 소식이다. 게다가 코로나에 감염됐다가 완치 판정을 받은 환자가 숨지는 일까지 벌어져 방역당국을 바짝 긴장시키고 있다. 재확진 원인으로 검사 오류나 바이러스 재활성 등이 거론되고 있지만 명확하게 밝혀진 게 없다 보니 국민 불안이 더 커지는 양상이다.

코로나19 확진자는 어제 하루 사이 32명이 늘어 총 1만 512명으로 집계됐다. 사망자는 214명, 완치자는 125명이 늘어 7368명으로 완치율이 70.1%에 달한 것은 다행이 아닐 수 없다. 그런데 완치된 환자가 다시 확진자로 판명되는 사례가 늘어나는 추세여서 불안하긴 여전하다. 지난 2월 28일 첫 재확진자가 나온 이후 조만간 100여 명을 육박할 거라고 한다. 음성 판정을 받고 격리 해제됐다가 재확진받은 경우는 있었지만 완치 후 재확진된 사례가 그리 많지 않다는 점에서 불안을 감출 수 없다. 코로나 확진으로 치료를 받은 후 완치됐던 환자가 재확진되진 않았지만 후유증으로 사망하는 일까지 벌어지면서 완치 후 환자 관리의 중요성도 높아졌다. 방역 당국이 긴장하는 것은 감염 경로 미확인과 재확진이란 위험 요소가 여전해 관리망 밖에서 또 다른 대규모 전파가 일어날 수 있다는 점이다.

충청권에서도 재확진자가 속출하고 있어 바짝 긴장하긴 마찬가지다. 지난 9일 대전과 충북에서 3건의 재확진자가 추가로 발생하면서 충청권에선 총 9명이 재확진자로 분류됐다. 타 지역에 비해 재확진 발생 비율이 높다는 점에서 충청 지자체가 긴장의 끈을 늦춰선 안 되겠다. 완치자의 퇴원 후 재확진 사례가 빈번하자 완치판정 기준이 미흡한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현재 완치 판정은 유전자증폭 검사를 통해 내리고 있지만 이것만으론 정확한 완치 판정을 내릴 수 없다는 것이다.

문제는 재확진자의 전파 가능성이 항상 열려 있다는 점이다. 완치 후 코로나 의심 증상이 재현된 사람이 대구에서만 300명이 넘게 나온 것만 봐도 우려스럽다. 바이러스가 완전히 근절되지 않으면 재발될 가능성은 높다. 면역력이 약한 확진자를 대상으로 완치 판정 기준을 강화하고 퇴원을 하더라도 일정기간 격리를 의무화하는 건 또 다른 지역사회 전파를 막는 길임을 명심해야 하겠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