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1부 조수연 기자
취재1부 조수연 기자
"만만한 게 체육분야 말고 더 있어요?"

대전지역 민간위탁 수영장을 운영하는 대표는 수화기 너머로 연신 한숨을 쉬었다. 현장사무실을 방문해보니 상황은 더 처연하다. 사무실 밖 재떨이엔 담배꽁초가 수북하다. 영세한 사무실 한 켠에는 방역액제가 담긴 통들이 쌓여있다. 두 달 가까이 운영을 중단해왔던 지난달, 재개장을 대비해 사놓은 고가의 방역용품들이다. 눈앞에서 수강생들이 훅훅 빠져나가는 상황 속에서도 재개장하는 날을 기다리며 버틴다고 했다. 출근해도 할 일이 없는 직원들 대신 직접 나와 매 시각 수질체크를 하고 있다.

지난달 말, 정부는 실내체육시설과 종교시설을 콕 집어 언급하며 운영중단을 권고했다. 이어 지난달 4일 휴장기간이 또다시 늘어났다. 갈수록 채찍질은 세지는데 당근의 크기는 작아지는 모양이다.

개장하려면 △최소 1일 2회 이상 시설 소독 △출입구에서 발열·호흡기 증상 여부 확인 △운동기구 사용자 간 최소 간격 1-2m 확보 △운동복·수건 등 공용물품 제공 금지 등 방역지침을 지키라고 하지만, 사실상 문을 열지 말라는 경고에 가깝다. 문 열자니 수강생들의 감염우려에 줄타기 하는 기분에 시달려야 하고, 닫자니 도산할 처지다. "정상영업 해달라"는 이용객들의 문의에 문을 열어볼까 했더니 곧바로 반대 민원이 빗발쳤다.

민간체육시설들은 졸지에 서러운 신세가 됐다.

운영비 손실 보전이 부담스럽다는 소속 자치구의 난감한 표정에 한 번, 자치구에 책임을 떠넘기는 대전시의 소극적인 태도에 한번 더 상처 받았다. 가뜩이나 힘겨운 현실에 자존심까지 건드린 꼴이다.

민간위탁 수영장 대표의 말처럼 유독 체육계에 대한 관심과 지원은 부족하다.

업계종사자들 사이에서는 "감염병 예방을 위해 손해를 참아왔는데, 규제만 있고 정작 지원 할 때는 홀대한다"는 넋두리가 심심치 않게 나온다.

자치구들은 임대료를 인하해주거나 시설 운영비를 일부 지원하는 등 제각각 대책을 내놨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줄줄이 도산`을 막을 수 있는 지원이 아닌 볼품 없는 당근과 채찍만 보인다. 자치구와 시 사이 눈치싸움은 멈추고 불만을 참아온 종사자들이 "충분히 보상 받았다"라고 느낄 만한 강력한 재정지원이 필요할 때다. 조수연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조수연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