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업종 이용 가능, 연내 출시 목표… "체계적 관리 없으면 혈세낭비"

배달의 민족 수수료 개편 논란 [사진=연합뉴스]
배달의 민족 수수료 개편 논란 [사진=연합뉴스]
대전시가 최근 수수료 인상으로 도마에 오른 `배달의 민족`을 대신할 공공 배달앱 개발에 나선 것으로 확인돼 귀추가 주목된다.

업종 구분 없이 지역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다는 게 기본 뼈대로 이르면 연내 출시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그러나 일부에선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플랫폼으로 자리 잡기 위해선 지속적인 고객·가맹점 관리 등이 뒤따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7일 시에 따르면 지난 1월부터 지역 영세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하는 공공 배달앱 개발에 착수했다.

아직 내부논의 단계로 구체적인 운영 방식은 정해지지 않았지만 업종 구분 없이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다는 골격만 세워졌다.

시는 신용·체크카드, 온라인 결제, 현금 등을 이용할 수 있고 7월 출시 예정인 지역화폐와 연계 사용하는 방안을 고민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배달 플랫폼 시스템 구축을 위해 전문 업체에 용역을 의뢰해 이르면 연내 출시를 목표로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시 관계자는 "군산의 `배달의 명수`같이 성공적으로 배달 서비스를 운영 중인 타 지자체 모델을 참고해 논의 중"이라며 "지역 소상공인들이 수수료 걱정 없이 장사할 수 있는 공공앱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지역 상인들은 중개 수수료가 없는 공공 배달앱 개발 소식을 반기고 있다.

서구 탄방동에서 피자 전문점을 운영하는 이모(49)씨는 "지자체가 수수료 부담을 덜어주는 배달앱을 만든다면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제대로 된 준비 없이 앱 개발이 진행되면 세금만 낭비하는 `보여주기식 이벤트`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서구의 자영업자 김모(32)씨는 "취지엔 공감하지만 앞선 지역화폐 실패 사례처럼 시민들이 공공 배달앱을 이용하지 않으면 아무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소상공인이 기존앱 대신 새로운 공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전국 지자체가 앞다퉈 도입한 기존 공공앱이 민간앱 과의 차별성을 확보하지 못해 사용이 지지부진했다는 점이 소상공인들의 주장과 궤를 같이 한다.

지역의 한 국립대학교 교수는 "정부나 지자체의 개입이 능사는 아니다"라며 "부당한 부분이 있을 때마다 공권력이 개입하게 되면 시장이 위축될 뿐더러 비효율성이 높아지는 부작용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이미 반대여론에 부딪혀 회사 대표가 제도 개선을 약속한 상황에서 행정기관은 시정조치를 돕는 게 오히려 바람직하다"고 했다. 김용언 기자·황의재 인턴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용언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