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유성구 장대삼거리가 간선급행버스체계(BRT) 연결도로 건설공사로 네거리로 변경될 예정인 가운데 상습 교통정체 해소를 위해서는 이 교차로를 고가 방식으로 `입체화`해야 한다는 여론이 다시 일고 있다. [사진=대전일보DB]
대전 유성구 장대삼거리가 간선급행버스체계(BRT) 연결도로 건설공사로 네거리로 변경될 예정인 가운데 상습 교통정체 해소를 위해서는 이 교차로를 고가 방식으로 `입체화`해야 한다는 여론이 다시 일고 있다. [사진=대전일보DB]
대전 유성구 장대삼거리가 간선급행버스체계(BRT) 연결도로 건설공사로 네거리로 변경될 예정인 가운데 이 교차로를 `입체화`해야 한다는 여론이 다시 일고 있다. 대전시가 카이스트교 갑천네거리를 평면교차로로 만들었다가 교통혼잡만 가중했다는 따가운 비판에 입체화(지하차도화) 검토로 돌아선 사례가 반면교사로 떠올랐다.

장대삼거리는 유성나들목에서 나와 공주와 구암교네거리 등 유성 일원으로 갈라지는 곳이다. 대전시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2014년 대전 반석동(외삼네거리)과 구암동(유성복합터미널)을 잇는 외삼-유성복합터미널 BRT 연결도로 건설공사의 기본·실시설계 용역에 이어 2017년 장대삼거리 교차로를 평면으로 설계해 공사를 발주했다.

현재 반석역까지 운행하는 BRT 노선을 앞으로 건립될 유성복합터미널까지 연장해 대전과 세종 간 광역교통서비스를 제공하고 상습 교통정체를 해소한다는 목표를 내세웠다. 사업비는 국·시비 절반씩 총 1356억 5400만 원에 달한다. 이 사업의 핵심은 네거리로 바뀌는 장대교차로를 고가화 방식의 입체교차로로 하느냐, 각 방향에서 신호를 받아야 하는 평면교차로로 할 것인지다. 당초 고가에서 평면으로 변경되는 과정에서 교차로 조성 방식을 둘러싼 첨예한 논란이 촉발됐다.

고가 방식을 주장하는 측은 유성지역이 세종시 배후도시 역할을 하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고 장대삼거리 일원 역시 유성나들목, 유성복합터미널 건립, 신도심 형성 등으로 교통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이란 점을 든다. 반면 장대삼거리 인근 지역에서는 고가도로가 들어서면 고가 밑을 중심으로 토지 활용도가 떨어져 땅값이 하락하고 상권도 침체할 수밖에 없다며 평면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2년 전인 2018년 3월 BRT 연결도로 건설공사를 착공하고도 공정률이 채 10%도 되지 않는 배경이다. 교차로 형식 결정 과정에 대한 공익감사 청구, 보상협의 지연과 민원 등으로 착공 두 달 후부터 지난해 6월까지 1년 넘도록 공사가 멈춰서기도 했다.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대전시는 더 이상의 설계변경은 어렵다는 입장이다. 많은 논란 끝에 장대교차로가 평면 방식으로 확정됐고 고가로의 변경은 200억 원에 달하는 사업비 증액을 전제로 하는 것이어서 정부 승인도 받아내기 힘들다는 것이다. 시 관계자는 "정부로부터 총사업비로 승인 받은 게 1200억 원이고 보상 현실화 등으로 1356억 원으로 늘어난 상황에서 장대교차로 방식을 고가로 다시 돌린다면 200억 원가량의 사업비 증액은 물론 추가 보상도 뒤따르게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또 "장대교차로 전후방 구간을 보면 멀지 않은 곳마다 평면교차로가 있어서 장대교차로만 입체화한다고 해서 교통 흐름이 원활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도 했다.

이와 달리 교통분야 한 전문가는 "공사계획이 이미 확정됐다는 이유로 평면교차로로 밀어붙이는 것은 논리적으로 맞지 않고 시민 편의와 미래 교통 수요를 보고 바로잡아야 한다면 과감한 행정도 필요할 것"이라며 "설사 공사비용이 증액되거나 완공시점이 더 지연된다고 해도 향후 평면 방식이 잘못됐다며 입체 방식으로 뒤집는 것보다는 전체 비용 측면에서 나을 것"이라고 제언했다. 문승현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