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바이러스 여파로 사회적 거리두기를 한지 벌써 두 달가량 되어간다. 학교, 모임, 직장, 외식, 놀이. 모두 거리를 두어야 할 일이 되었다.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사회 전체에 불안과 무기력이 팽배해지고 있다. 여기에 우울함과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국민이 급증하고 있는 분위기다. 이같은 현상은 `사회적 거리두기` 확산 때문이다.

하지만 한국이 코로나19 감염에 이 정도로 버티는 것은 `사회적 거리 두기`에 적극 동참하는 우리 국민 때문일 것이다.

정부가 3월 22일부터 15일간 실시하기로 했던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2주 연장해 4월 19일까지 계속한다고 발표했다.

정부는 현 상황이 여전히 엄중하다고 판단하고,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연장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거듭 설명했다.

`사회적 거리 두기`는 쉬워 보였지만 갈수록 인간의 생활 전반을 위축시키고 마비시키는 데다 비정상적인 상태에 빠지게 하고 있다. 특히 `사회적 거리 두기`는 정작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 대한 무관심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실제로 `사회적 거리 두기`를 하면서 취약 계층에 대한 관심도 축소돼 복지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있다. 노인들의 휴식처인 공원, 저소득층을 위한 무료 급식소는 감염병 확산 우려로 문을 닫고, 쪽방촌에는 봉사자들의 발길도 뜸해졌으며, 중증 장애인 시설들은 외부 봉사 지원이 중단된 상황이다. 재난적 상황에 대한 한시적 조처인 사화적 거리 두기가 이들을 잊지 않고 있는 것인지 정부는 심각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 `사회적 거리 두기`로 현재 이들은 벼랑 끝에 몰려 있다.

언제나 그렇듯 전면 수정돼야 할 정책들이 있는 반면 지금보다 더 좋은 대안을 찾기 어려운 것들도 있다. `무조건 정부가 잘못하고 있으니 시정하라`는 말이 아니다. 정부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도 중요해졌다는 것이다. 사회적 위기의 국면에서는 누가 더 위기에 취약한지 면밀히 살펴야 한다. 그리고 이로써 정부의 재난대책인 `사회적 거리 두기`가 운영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더 아픈 사람은 더 많이 치료받아야 하고, 더 취약한 사람은 더 많이 보호받아야 한다. 힘든 상황에서 우리가 사회적 약자를 먼저 보호하기를 소망한다. 특히 정책적 사각지대에 있는 `보이지 않는 사람`에 대한 대책마련이 절실해 보인다. 이상진 지방부 제천주재 부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