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1부 임용우 기자
취재1부 임용우 기자
우리는 여전히 코로나19 공포 속에 살아가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팬데믹, 사회적 거리두기, 재택근무 등이 우리 일상에 자리 잡았다.

사회 구성원 모두에게 해당되는 얘기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가장 대표적이다.

하지만 충청권의 확진자가 타 지역보다 적은 탓인지 대구 지역에서 들려오는 소식과 비교했을 때는 사회 전반적인 분위기 자체가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바이러스가 창궐한지 다소 시간이 지나며 나와 내 주변과는 상관없는 일이라는 인식이 점점 강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완연한 봄 날씨로 인해 밖으로 향하는 발걸음을 재촉하는 시민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 이를 증명한다.

직장인들은 실내에서 마스크를 벗고 다수의 사람과 얘기를 나누고 청년층들은 무료한 시간을 달래기 위해 밤만 되면 외출에 나선다.

모두가 코로나19로 인해 달라진 일상에 대해 짜증과 실증을 느끼며 원래의 습관을 되찾으려는 듯한 모습이다.

많은 이들이 `나 하나쯤은 괜찮지 않냐`는 말을 하며 감염 불감증을 드러내고 있다.

이들이 자주 찾는 집단감염 사례를 냈던 종교시설, PC방, 노래방 등은 물론, 클럽과 같은 밀집시설들은 여전히 감염에 취약하다.

매출 저하를 토로하는 자영업자, 돌봄시설 확충을 요구하는 학부모 등의 목소리에도 곳곳에 감염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 것이다.

서로가 힘들다고 소리치고 있지만 모두 자신의 고충에만 집중하고 있어 상황이 나아지질 않고 있다는 생각마저 든다.

물론, 코로나19 확진자보다 완치자가 더 많은 골든크로스가 이뤄진 점은 호재다.

그러나 완치자들 중에 다시 확진 판정을 받는 경우마저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럴 때일수록 집중적인 사회적 거리두기를 통해 `코로나19` 재유행을 막아야 한다.

의료계에서도 방심은 금물이라고 경고한다. 끝났다고 으레 짐작하고 느슨해지는 순간 언제든 다시 코로나19가 우리를 위협할 수 있다.

나 하나는 괜찮겠지라는 생각보다 나부터 앞장서자라는 마음을 가져야 하는 시기다. 밖으로 나서는 시민들에게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싶다. 끝날 때까지 방심은 안 된다라는 것을. 취재1부 임용우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임용우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