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달부터 지역과 국적에 관계없이 모든 입국자에 대한 2주간의 의무적 격리를 확대 시행키로 했다. 그동안은 유럽과 미국지역 입국자에 한정했었지만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지역 구분 자체가 의미가 없어졌다는 것이다. 어제 기준으로 국내 확진자 9583명 가운데 4.3%에 달하는 412명이 해외입국자였다. 이중 내국인이 377명, 외국인이 35명으로, 해외입국을 전면 금지해야 한다는 주장의 현실성이 떨어지는 상황에서 일단 자가격리에 중점을 두겠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문제는 자가격리 과정에서 드러난 허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라는데 있다. 해외유입 사례 가운데 공항 검역단계에서 확진 판정자는 189명에 그쳤다. 반면 지역사회로 돌아가 확진된 사례는 무려 223명이었다. 이들 가운데 일부는 자가격리 중 지침을 위배, 지역사회를 활보한 것으로 보고되면서 2차, 3차 감염의 우려를 낳고 있다. 이미 이들과 접촉한 지인들의 감염 사례 등도 나타나고 있는 형편이다. 현재 정부가 자가격리 지침을 어긴 사람들에 대해 손해배상 청구 등 강력한 조치를 예고하고 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사후적 조치다. 감염병의 경우 차단이 우선이란 점에서 별도의 시설에 머물게 하는 등 선제적 대응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전국적으로 그만한 관리 인력과 시설을 마련하려면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겠지만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 아닌가 한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우리 사회 곳곳에서 사회적 거리두기에 무감각해진 이들도 늘고 있다고 한다. 정부가 지난 21일 종교시설과 유흥시설, 실내체육시설 등에 대한 운영 중단을 권고했음에 이를 도외시하는 곳도 많은 실정이다.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나 자가격리 등은 감염병을 이겨내고 일상으로 돌아가기 위해 감내해야 할 잠깐의 불편이다. 정부도 이들 조치를 시행하는 과정에서 드러난 허점을 보완하고 관리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했으면 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