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대 총선에 나서는 여야의 비례대표 공천 및 위성정당 창당 등 내·외부 갈등이 지속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난해 말 공직선거법 개정 이후 치러지는 이번 4·15 총선에서는 준연동형 비례대표제가 도입되면서 각 정당이 의석을 한 석이라도 더 얻기 위해 비례대표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것.

당초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는 대표성 및 비례성 강화 차원에서 도입된 만큼 더불어민주당이나 미래통합당 등 거대 정당보다는 군소 정당에 유리할 것이라는 분석이 주를 이뤘다.

과거에는 다수의 지역구를 가져오는 정당이 비례대표 의석을 차지하기 유리했지만 이번 총선부터는 지역구 성적이 좋지 않아도 정당 득표율을 통해 입지 확보가 가능해 졌기 때문.

하지만 거대 양당들이 모두 비례정당 경쟁에 뛰어들면서 정치권 안팎에서는 선거법 개정 취지 자체가 무색해 졌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이들 정당 모두 비례대표용 위성정당을 만들어 한 석이라도 더 차지하기 위한 경쟁에 가세하고 있는 상황이다.

통합당의 경우 비례대표 의석 확보를 위해 위성 정당인 미래한국당을 만들어 선거에 임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통합당-미래한국당 간 비례대표 공천을 둘러싼 갈등이 수면 위로 떠오르기도 했다. 이에 미래한국당은 한선교 전 대표체제 공천 명단에서 당선권에 있던 20명 중 12명을 후순위로 밀어내거나 제외한 대신, 통합당에서 영입했던 인사들로 채운 비례대표 명단을 확정했다.

또 통합당의 이런 움직임에 민주당은 플랫폼 정당 `시민을 위하여`와 함께 구성한 비례대표용 범여권 연합정당 `더불어시민당`을 공식 출범시켰다. 범여권 비례연합정당에는 민주당과 가자환경당, 기본소득당, 시대전환, 평화인권당 등이 참여하고 있다.

이러한 집권 여당의 움직임은 비례 정당을 만들지 않을 경우 이번 총선에서 15석 이상의 손해를 볼 수 있다는 위기의식에서 출발한 것으로 풀이된다. 더시민은 지난 23일 34명의 비례대표 후보를 확정했다. 민주당에서 넘어온 비례대표 후보 20명과 플랫폼에 동참한 군소정당 추천 인사 및 일반 추천 인사 14명을 더한 인원이다.

한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비례대표 선거와 관련된 논란은 지난해 말 공직선거법 개정안 통과 직후부터 예견됐던 상황"이라며 "결국 의석 수를 더 차지하기 위한 여야 경쟁에서 기인한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편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는 지역구에서 얻은 의석수가 전국 정당 득표율에 미치지 못할 경우 비례대표 의석을 통해 총 의석을 보장하는 제도다. 반대로 지역구 의석을 많이 얻으면 정당 득표율이 높아도 비례의석을 챙길 수 없거나 확보할 수 있는 의석이 줄어들게 된다. 이번 총선에서는 지역구 253명, 비례대표 47명을 뽑는다.박영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