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할 것 없이 비례대표 공천 후유증으로 난리법석을 방불케하는 진풍경이 연출되고 있다. 미증유의 준연동제가 도입된 가운데 각당의 스텝이 꼬이고 있는 현실은 어쩌면 예견된 귀결인지 모른다. 특히 볼썽사나운 모습은 비례의석만을 겨냥한 `페이퍼 정당`이 난립해 있는 현실이다. 비례연합정당 위성정당 자매정당 등 이름을 붙이기 나름이지만 겉포장을 뜯어내고 보면 오십보백보라는 표현이 어울린다.

민주당 통합당을 비롯해 주요 정당과 연결고리를 갖는 비례대표 공천 결과는 더욱 가관임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어찌 어찌 비례대표 명부 확정을 끝내긴 했지만 일부 당선권 후보자들의 경우 개운치 않은 뒷맛을 남기고 있어 유감으로 비친다. 이는 지역구 공천자와는 또 다른 맥락이다. 가령 지역구 출마자의 흠결에 대해 합리적 의심이 제기되면 지역구민들이 표를 주지 않는 방법으로서 배척이 가능하다. 반면 비례공천자는 개별적으로 유권자가 탄핵하는 데 한계가 따른다. 게다가 당선권에 배치돼 있을수록 기실 속수무책이다. 상대적 정당득표율 격차에 따라 당선권 순위에 영향을 받는 정도일 뿐, 지지의사가 없는 특정 비례후보자이면서 그것도 앞 순위에 배정돼 있으면 `무임승차 당선`을 눈 뜨고 지켜보는 수밖에 도리가 없기 때문이다. 비례공천제는 이처럼 표심이 점단위로 왜곡될 소지를 안고 출발한다. 그런 만큼 비례공천자를 선별하는 과정은 그물망이 대단히 촘촘해야 하고 시스템 공천으로 굴러가는 게 정도다. 각당 현실은 이와는 거리가 멀다. 당장 각당 1번 후보자들 모두 소속 정당 안팎의 평가가 갈리고 있으며, 온라인 여론 추이도 녹록지 않아 보인다.

여야 정치권은 비례대표 의석을 둘러싼 제도화된 선거법 룰에 충실하길 바란다. 아울러 이 비례대표 경로로 국회 입성이 담보되는 후보자들에 대해 자질 도덕성 등 사후 검증에 인색하지 말아야 한다. 국민이 안중에 없는 일방통행식 비례공천은 부메랑이 될 수도 있는 노릇이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