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 부족 사태 해결을 위해 개성공단을 재가동하자는 주장이 정치권을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다. 어제는 우원식 민주당 의원과 윤소하 정의당 의원이 기자회견을 갖고 청와대와 통일부 등에 이를 공식 제안했다. 개성공단에 마스크 제조 공장 1개를 비롯해 봉제공장 70여개, 3만여명의 숙련 노동자가 있는 만큼 이를 활용하면 하루 1000만장의 마스크 생산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의료진과 방역 요원의 방호복도 개성공단에서 생산 공급해 코로나19 팬데믹에 대비하자는 논리다. 당장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제 등 넘어야 할 산이 많지만 적극 검토가 필요한 시점이 아닌가 싶다.

우리나라 마스크 생산량은 하루 1000만~1100만장 정도지만 경제활동인구 2800만명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하다. 이같은 수급 불균형으로 5부제라는 극약 처방까지 내놨지만 마스크 대란은 여전하다. 일각에서 마스크 사용 자제 운동 등이 일어나고 있지만 코로나19 사태가 언제 종식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수요는 계속 늘어날 수밖에 없다. 세계보건기구도 전 세계 의료 종사자가 위험에 빠지지 않도록 마스크와 방호복 등 방역에 필요한 물품 공급을 40% 가량 늘릴 것을 각국 정부에 촉구한 바 있다. 개성공단에서 마스크나 방호복을 생산하자는 주장에 눈길이 쏠리는 이유다. 하지만 이게 쉬운 일은 아니다. 유엔 안보리는 대량현금의 북한 유입을 차단하고 있다. 개성공단 마스크 제작에 필요한 물품, 금융, 서비스 등 문제의 소지가 많은 셈이다. 북이 최근 단거리 발사체를 잇달아 쏘아 올리는 등 경색된 북미, 남북관계도 걸림돌이다.

그렇다고 먼 산만 바라볼 수는 없다. 개성공단을 통한 마스크 생산은 인도주의 차원의 일인지라 유엔 제재를 피할 명분이 있다. 개성공단 마스크 등 여분의 물품은 유엔을 통해 필요한 국가에 보급한다면 국제사회를 설득하는데도 용이할 것이다. 정부는 현실적인 어려움은 있겠지만 보다 전향적으로 이를 검토하길 바란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