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정당의 공천 작업이 막바지 단계에 이르면서 곳곳에서 후유증이 나타나고 있다. 공천 탈락자의 반발로 탈당 사태가 빚어지는가 하면 무소속 출마 천명으로 지지세 분산까지 예견되고 있는 것이다. 이런 현상은 공천 과정에 대한 불신이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탈락자로서는 당선 가능성이나 당에 대한 헌신, 기여도 등이 상대보다 월등하지만 석연치 않은 이유로 자신이 배제됐다는 의구심을 지울 수 없다고 한다. 짧게는 수년에서 길게는 10여년 이상 지역구에 공을 들이며 여의도 입성을 노린 이들이기에 공천 탈락에 반발하는 심정은 십분 이해할 수 있을 듯하다.

공천 후유증을 겪기 않으려면 누구든 납득할 수 있는 기준과 원칙이 있어야 한다. 각 당이 공천관리위원회 등을 통해 공천 투명성 확보에 심혈을 기울였던 것도 공천 실패에 따른 부작용과 악영향을 우려해서였다. 공천이 정당한 절차에 따른 인적 쇄신인지, 정적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인지 불분명했을 때의 결과는 치명적이다. 지난 20대 총선 때 `진박 감별사`에 의한 새누리당의 공천 학살은 총선 참패와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의 빌미가 되기도 했다. 이해찬 민주당 대표도 공천에서 탈락하자 무소속 출마를 감행, 당선 뒤 당에 복귀해 보란듯이 대표에 오르기도 했다. 이번에도 예외는 아니어서 홍준표 전 자유한국당 대표와 김태호 전 경남지사가 미래통합당 공천에서 컷오프 당하자 무소속 출마를 피력하고 나섰다. 지역에서도 민주당 논산계룡금산, 미래통합당 대전 유성갑, 충남 당진 등의 공천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다. 이들이 과연 끝까지 무소속 출마를 감행할지는 미지수지만 공천 불복은 정당 민주주의의 근간을 흔드는 일이란 점에서 씁쓸함을 지우기 어렵다.

당사자야 얼마나 억울하기에 이럴까마는 정치를 희화화하는 일들은 근원적으로 방지했으면 한다. 이를테면 무소속으로 나와 당선 되더라도 원래 당에 복귀하지 못하도록 제도화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되겠다는 생각이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