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총선에서도 충청권의 여성 정치인 가뭄현상이 여전하다. 충청권 28개 지역구에 등록된 예비후보는 남성 199명, 여성 110명 등이다. 이 가운데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 소속은 12명에 달한다. 하지만 어제 까지 당 공천권을 획득한 이는 청주시청원구 김수민(통합당) 의원이 유일하다. 경선을 앞둔 천안병(민주당), 세종시(통합당) 두 곳을 제외하면 나머지 9명은 1차 관문도 통과하지 못하고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여성 정치인의 진입 장벽을 새삼 절감할 수 있는 결과여서 씁쓸함을 지우기 어렵다.

충청 정치권의 `유리천장`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70년이 넘는 우리 헌정사를 되돌아보더라도 충청권 지역구에서 선출된 국회의원은 1973년 2월 9대 총선과 1985년 2월 12대 총선의 김옥선 의원뿐이다. 정치권에서는 이 같은 진입 장벽 해소를 위해 지난 2000년 `여성정치할당제`를 도입해 비례대표 50% 여성 할당 의무화와 남녀교호순번제, 지역선출직 30% 여성할당 권고를 공직선거법에 명시하고 있다. 일부 정당에서는 여성 후보들을 위해 공천 가점을 부여하는 등 나름의 시도까지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노력에도 불구, 여성의 진입 장벽은 공고하다. 지난 20대 총선에서도 전국 지역구 253곳 가운데 남성 227명, 여성 26명이 당선돼 여성 당선자 비율이 10.3%에 달했지만 27개 지역구를 가진 충청권에서는 여성 당선자가 1명도 나오지 않았다.

여성 정치인의 국회 진출이 어려운 것은 각 정당의 후보 결정 시스템도 원인이지만 남성 위주, 가부장적 속성에 기인한 정치문화 탓이란 지적이 많다. 평소 여성 정치인의 교육과 육성에 소홀하다가 선거 때만 반짝 이용하고 마는 `정치적 마초 근성`이 깊게 자리하고 있다는 것이다. 세상의 절반은 여성이다. 생활 정치, 감성 정치의 수요가 계속 늘어나는 추세임을 보더라도 여성 정치인의 국회 진출을 보다 촉진시킬 방법을 강구했으면 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