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비례대표 의석 확대를 위해 시민단체가 주도하는 연합정당에 몸을 싣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는 모양이다. 미래통합당의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처럼 자체 창당이 아니라 시민단체의 창당 제안을 수용해 비례대표 후보를 파견하는 형식이 될 것이라고 한다. 강훈식 수석대변인은 어제 통합당과 같은 자체 창당은 부정적이라고 손사래를 쳤지만 외부에서 온 제안에 대해 면밀히 검토하고 있다는 말로 비례정당 추진을 인정했다. 아무리 정치가 현실이라지만 엊그제까지만 해도 미래통합당의 위성정당 창당을 꼼수로 몰아붙이던 민주당의 태도 변화에 어안이 벙벙하다.

국회에서 한 명의 국회의원이 차지하는 의미는 그리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국회 상임위나 소위에서는 첨예한 사안들이 단 1표에 의해 좌우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이런 상황을 감안하면 민주당의 사정을 이해하지 못할 바는 아니다. 집권여당인 민주당으로서는 4·15 총선에서 승리가 절실하다. 문재인 정부 후반기 국정운영을 효율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서라도 원내 1당 지위가 필요하다. 민주당 원내대표 등 실세들이 한 모임에서 토로했듯이 대통령 탄핵을 막기 위해서라도 어쩔 수 없이 비례정당이 필요할 수도 있다. 미래통합당의 위성정당이 비례대표 의석을 대거 확보할 것이란 시뮬레이션 결과가 나오는 마당에 명분 하나로 버틸 재간이 없다는 판단도 그래서 나온 듯하다. 민주당 내 불안감과 위기감이 커지면서 비례정당에 눈독을 들이는 것도 무리는 아닐 것이다.

하지만 길이 아니면 가지 말라고 했다. 민주당과 소수정당은 지난해 이른바 `4+1`을 통해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했다. 거대 정당의 독식을 막고 소수정당의 원내 진입을 용이하게 하는 등 비례성을 살리자는 취지였다. 그런 민주당이 사정이 불리하다고 해서 선거법 개정 취지를 부정하면서까지 비례정당을 운운하는 것은 그야말로 내로남불이 아닐 수 없다. 국민들의 입장에서 볼 때 위성정당이나 연합정당은 오십보백보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