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대전 동구 인동어진마을아파트에서 대구역 방향 경부선을 촬영했다. 대전도심 지상을 관통하는 경부선 철도는 지역을 단절하고 도시 균형성장을 저해하고 있다. [사진=윤종운 기자]
18일 대전 동구 인동어진마을아파트에서 대구역 방향 경부선을 촬영했다. 대전도심 지상을 관통하는 경부선 철도는 지역을 단절하고 도시 균형성장을 저해하고 있다. [사진=윤종운 기자]
도심 지상부를 관통해 지역을 사분오열하는 기찻길을 땅으로 묻는 `철도 지하화` 사업에 대전시가 맥을 놓고 있는 사이 부산시와 대구시는 나랏돈을 따내며 치고 나가고 있다. 과거 산업 발전을 견인하는 물류 인프라에서 도시 균형성장을 가로막는 애물단지로 급전직하한 철로를 걷어내야 한다는 당위성은 세 지역에 공히 적용되지만 추동력 확보를 위한 의제화·공론화 의지에서는 극명한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철도 지하화는 철길로 끊어진 동서 지역을 하나로 잇고 쇠락하는 철도변을 재생하는 시발점이 될 것이란 점에서 대정부 설득과 함께 국비 확보에 발 벗고 나서야 하는데도 사업 가능성에 대한 회의론에 젖어 정부 눈치만 살피고 있는 모양새다.

대전시는 이달 초 21대 총선을 앞두고 정치권에 건의할 지역발전과제로 18조 원에 육박하는 27건을 선정·발표했다. 더불어사는 균형발전 분야 6개 과제 중 하나로 `호남선 철도 지하화 및 철도변 정비`가 올랐다. 대덕구 오정동 대전조차장에서 서대전, 가수원으로 이어지는 호남고속철도 11㎞ 지상 구간을 지하화해 철로가 3분할하고 있는 대전도심을 연결한다는 게 핵심이다. 철로가 땅에 들어가면서 생기는 지상 유휴공간에는 녹지나 공원, 주차시설, 도로 등도 건설된다. 사업비는 3조 2000억 원으로 추산했다.

이를 두고 지역사회에서는 덩어리가 훨씬 큰 경부선을 도외시한 것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대덕구 신대동에서 동구 판암나들목으로 이어지는 13㎞ 경부선 철도 지하화는 끊임없이 제기돼온 지역 숙원인데 시가 이를 배제하고 호남선으로 눈을 돌렸다는 지적이다. 시는 당초 지역 여론에 따라 경부선과 호남선 철도 지하화를 동시에 검토했으나 경부선은 정부로부터 철도변 정비사업비로 4997억 원을 받았다는 이유로 공약화 과제에서 제외한 것으로 파악됐다.

시 관계자는 "5000억 원 가까운 국비로 2006년부터 경부선 철도변 정비사업을 해온 마당에 사업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지하화를 요구하면 정부에서 받아들여지기 어렵다고 봤다"며 "호남선은 철도변 정비사업을 시행하지 않았으므로 현실적으로 더 집중하려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경부선 철도 지하화 사업 시기의 적절성이나 정책 결정을 위한 자문을 구하고 대전세종연구원에는 연구과제를 제안했다"면서 "자문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명분과 논리를 개발하고 우리시 대응방안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부연했다.

한마디로 신중한 접근으로 요약되는데 대구시가 6800억 원에 이르는 사업비를 들여 경부선 철도변 정비사업을 진행 중인 상황에서도 올해 지하화 사업 타당성 조사 용역비로 20억 원(국비)을 확보해 지하화의 첫 단추를 끼운 것과 확연히 대비된다. 부산시 역시 일제강점기인 1905년 1월 개설된 경부선 철도가 부산 도심부를 4분면으로 단절해 도심공간을 왜곡하고 도시발전을 저해하고 있다며 지난 17일 `경부선 철도 지하화 등 시설 효율화 연구용역`에 착수했다. 용역비는 35억 원으로 전액 국비이며 내년 6월까지다. 문승현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18일 대전 중구 오류초등학교에서 가수원역 방향 호남선을 촬영했다. 대덕구 조차장에서 서구 가수원까지 도심 중앙을 관통해 지역 단절과 도시 균형성장을 저해하고 있다. [사진=윤종운 기자]
18일 대전 중구 오류초등학교에서 가수원역 방향 호남선을 촬영했다. 대덕구 조차장에서 서구 가수원까지 도심 중앙을 관통해 지역 단절과 도시 균형성장을 저해하고 있다. [사진=윤종운 기자]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