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대구에서 감염원이 불분명한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했다. 전국적으로 31번째이고, 영남권에서는 처음이다. 이 사람은 29·30번 확진자와 마찬가지로 최근 해외여행을 다녀온 적도 없고 다른 확진자와 접촉한 이력도 없다. 한마디로 감염경로가 오리무중인 것이다. 게다가 병원, 교회, 호텔, 뷔페 등 다중이용시설을 이용한 것으로도 알려지고 있다. 방역당국이 신속하게 감염경로를 파악하지 못한다면 전파속도와 지역이 가속화할 가능성이 높아진 셈이다. 이제 확진자 발생 분포지역이 수도권과 호남권에 이어 영남권으로 퍼진 사실로 미뤄 충청권 확산 우려도 괜한 것은 아닌 듯하다.

이런 가운데 코로나19 청정지역이랄 수 있는 충청권 일부 지자체의 방역활동이 느슨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민원인 상대가 많은 행정기관 민원실의 경우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직원들이 상당수에 이르는가 하면 민원인들에 대한 발열체크 등 기본적인 방역활동 조차 도외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열감지카메라 설치해 발열이 확인되면 즉각 선별진료기관으로 안내하는 등 방역에 만전 기하는 타 지역과 대조되는 부분이다. 그동안 감염 추세가 중국 등 외국을 방문했거나 그 접촉자 등으로 국한됐다면 이제는 확진자가 이동을 하면서 접촉한 사람이나 장소 등에서 불특정 감염이 생기는 양상으로 변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는 마당에 일선 지자체의 이런 행태는 이해하기 어렵다.

다음 주부터 개학시즌을 맞아 대전 충청권 소재 대학에 재학하는 1만여명의 중국인 유학생들이 유입될 예정이어서 지역사회의 불안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대학 뿐만 아니라 정부와 지자체의 합심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상황에서 일부 지자체가 긴장을 늦추고 있다는 것은 보통 심각한 일이 아니다. 지금은 안심단계가 아니라 이중삼중의 방역망을 촘촘하게 다지고 일상화할 때다. 방역당국이나 지자체, 시민 어느 한 부분이라도 긴장을 늦춘다면 지역사회 감염 공포는 현실화될지도 모른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