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 관광특구 활성화를 위한 실효적인 정책과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관할 행정청인 유성구청에서 그동안 나름 밑그림을 그린 뒤 정책으로 가시화한 사례가 있기는 하다. 내달 완료 예정인 `봉명동 카페거리` 사업도 이에 해당한다 할 것이고 조금 거슬러 올라가면 전임 구청장 시절에 완성된 온천로 변 족욕체험장 등도 유성 특구 활성화 문제를 고민한 결과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정도의 자원 투입 노력만으론 어림없는 현실임을 유성의 현주소는 증명한다. 유성은 유수의 관광호텔들이 자취를 감춘 것과 함께 직격탄을 맞은 온천지구 상권도 기세가 꺾인 지 오래다. 안팎으로 악재가 겹치는 바람에 유성 관광특구를 찾는 외지 방문객이 반토막 나는 상황도 피하지 못했다. 2013년 유성에 문을 연 면세점이 작년 7월에 철수한 것도 결국 버티는 데 한계에 봉착했기 때문이다. 이런 쇠락의 물꼬를 돌리려는 행정 단위의 정책적 접근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하지만 썰물 빠지듯 하는 상황을 막는 데는 역부족을 드러냈고 그러다 보니 특구 활성화 담론만 있을 뿐 유의미한 변화가 따르지 않았다. 봉명동 카페 거리의 경우 국비와 시·구비를 합쳐 테마 거리를 목표한 듯한데, 현재 그 곳엔 주점이 들어참으로써 주객이 전도되는 모습을 연출하고 있다고 한다. 정책 실패로 규정할 순 없지만 본질적으로 유성 특구 활성화로 연동되지 못한 점은 부정하기 어렵다.

사실 유성특구 활성화 문제는 기초자치단체가 감당하기엔 벅찰 수 있다. 적어도 유성구와 상급 지자체인 대전시가 긴밀히 숙의하는 틀을 작동시켜야 대안을 찾는 실질적인 발걸음을 뗄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전략과 방향성에 대한 확실한 설계도도 필요하다. 이를 위해 공신력 있는 연구기관에 용역을 의뢰해 봄직하다. 특히 4·15 총선을 맞아 총선 후보들은 뒷짐지고 있으면 안된다. 유성 특구 활성화에 대한 각자의 해법이 빈곤한 마당에 지역구민을 대표하겠다면 거북한 노릇이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