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체육의 화두로 떠오른 `생존수영`이 실질적인 `생존`과는 멀어지고 있다.

대전시교육청이 초등학생 3-5학년을 대상으로 시행중인 생존수영 교육이 시설 등 인프라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있다.

교육부는 우선 3-5학년을 대상으로 생존수영 교육을 의무화하고, 올해까지 초등학생 전 학년으로 확대하겠다고 발표했지만, 대전은 시설과 예산 부족으로 올해까지 전 학년 확대가 사실상 불가능하게 됐다. 대전의 수영장 인프라로는 3-5학년 학생들을 수용하는 것도 벅차다.

6일 시교육청에 따르면 의무교육 대상자인 초등학교 3-5학년에 해당하는 학생은 4만 1000명이다. 학교 자체 수영장을 이용하는 학교는 성모초·선화초·탄방중·대전체육중·대전여고 5곳에 불과하며, 민간시설까지 합쳐도 40곳 정도이다. 교육대상 학생들이 모든 시설을 독점한다고 가정해도 한 곳에 1025명이 몰리는 셈이다.

자체 수영장이 없는 학교는 생존수영 교육을 받기 위해 임차버스를 이용하거나 도보·대중교통으로 이동해야 하는데, 수영장을 오고가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리고 사고 위험도 있어 안전 우려도 제기된다.

숫자로 구색만 맞춘 교육과정도 문제다. 시교육청의 수영교육이수 여부 판단 기준인 교육시간(10시간)중 생존수영으로 분류된 시간은 4시간 뿐이다.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을 자녀로 둔 학부모는 "초등학교 학교에서 수영을 배운다고 해서 `잘됐다`했는데 수업을 보니 20명 넘는 학생들을 한 레인에 몰아넣고 발차기 한번씩 봐주고 나면 끝이더라"며 "영법은 커녕 호흡법이나 발차기만 배우기에도 부족한 시간"이라고 말했다.

지역의 한 수영강사도 "생존수영교육을 몇 년 동안 지켜봤지만 지금처럼 추진하면 알맹이 없이 그저 했다는 생색내기에 불과하다"며 "교육할 수 있는 강사와 인프라가 턱없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3-5학년으로 제한해 생존수영 교육을 하고 있지만 3년 내내 배우면 꽤 숙달된다"며 "한번이라도 수영을 배워보고 한 명의 학생이라도 살릴 수 있다면 의미가 있다. 점진적으로 교육 대상학생을 늘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희망학교에 대해 공기주입식 수영장을 설치하는 이동식 생존수영 교육을 시행중"이라고 덧붙였다. 조수연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조수연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