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일 한국공인중개사협회 대전지부 상담위원
강일 한국공인중개사협회 대전지부 상담위원
지금 집을 구입해도 될까요? 자주 접하는 질문이다. 정부정책의 영향을 많이 받는 부동산 시장에서 주택경기를 예측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대전의 아파트 값은 둔산지역을 시작으로 1-2년내 큰폭으로 상승 했고, 지역별로는 아직도 진행중에 있다.

부동산 시장은 10년을 주기로 변한다는 말들을 한다. 거래량과 가격의 관계를 중심으로 실물경기와의 연동, 부동산 정책, 수급 등 집값의 회복 국면과 하향 국면이 7-12년을 주기로 벌집모형과 같은 패턴으로 순환한다는 벌집순환모형(Honeycomb-Cycle Model) 이론은 주택경기의 국면을 진단하는 방법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2018년 10월 둔산동 지역의 가격 상승이 진행되고 있을 때, 크로바 아파트 (전용 101.79㎡)가 경매로 나왔고, 감정가 대비 127.46%의 낙찰율을 기록했다. 이전까지의 낙찰율이 100% 전·후 임을 감안할 때 높은 낙찰율이었고, 이후 2019년 12월에 진행된 동 아파트의 낙찰율은 167.79%를 기록했다. 감정가 9억 원이 약 15억 원을 써낸 최고가 매수인에게 낙찰되었고, 차순위 금액과도 고작 600여만 원 차이였다. 당시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격 또한 이에 준하는 가격을 보여주었는데, 둔산동을 비롯해 대전지역 아파트의 가격 상승은 놀라움 그 자체였다.

국토교통부의 크로바 아파트 2016년도 거래량을 보면, 전년도 대비 30% 이상, 2017년도는 2015년도 대비 약 40% 이상 증가되었다가 2018년도 하반기부터 2019년도 상반기에는 예년수준 이하로 떨어졌었다. 당시 침체기로 접어드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은 2019년 6월쯤부터 10월 사이에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가격이 상승했고, 침체기로 갈 것 같은 예상은 기우에 그쳤다. 정부에서는 주택시장 안정화를 위한 정책들은 수없이 제시하였으나, 일부지역의 가격상승을 부채질하는 또 다른 정책들은 현업에 종사하는 이들 조차 혼란스럽게 했다.

침체기에 접어들 것 같았던 가격이 거래량 증가와 함께 상승한 것은 둔산이라는 학군의 특수성, 정부정책의 엇박자, 그에 따른 수급 등이 영향을 준 것은 아닐까?

작년 겨울부터 둔산동 크로바, 목련아파트의 거래양이 감소하고 있고, 올해 들어 전세 가격 또한 주춤하거나 하락세로 돌아섰다. 12·16 주택시장안정화 대책과 단기간 가격 급등 기타요인 등을 감안할 때 상반기를 조심스럽게 지켜보는 것은 어떨까 한다. 강일 한국공인중개사협회 대전지부 상담위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