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가 보령화력 조기 폐쇄를 앞두고 지역경제에 미칠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TF팀을 꾸린 모양이다. 미세먼지 발생 주범인 1·2 호기의 폐쇄에 따른 피해를 막아야 한다는 지역 사회의 여론을 반영한 조치로 보인다. 당초 2022년 5월 폐쇄키로 한 것을 2년 앞당긴 건 환영할 일이지만 부작용도 만만치 않은 만큼 대책 수립에 만전을 기했으면 한다.

지역을 견인해 온 발전소가 폐쇄될 경우 피해가 불가피하게 생길 것이라는 점은 예견된 일이다. 당장 폐쇄해도 전력 수급에는 차질이 없다지만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크다. 지역 일자리 소멸과 지역 내 소비지출 위축, 인구와 지방재정 감소 등의 부작용이 우려되는 건 사실이다. 일자리는 500여 명이 감원돼 지역의 인구가 1000여 명 정도 줄어들 것이 예상되고, 지자체 재정수익도 연간 20억 원 이상 발생할 것이라고 한다. 무엇보다 지역의 소비지출이 190억 원 가량 줄어 지역 산업이 붕괴될 것이란 반갑지 않은 분석이다. 일각에선 지방 소멸을 우려하는 목소리까지 나오는 걸 보면 여간 심각한 게 아니다.

석탄 화력을 LNG발전소로 전환한다지만 대량 실업자가 나올 수 있다는 점도 지역사회를 불안으로 내몰고 있다. LNG발전소 인력 수요가 석탄발전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기 때문에 더더욱 그렇다. 발전소 측은 유휴 인력을 특수목적법인(SPC)을 활용해 민자 발전의 운영과 유지 보수에 나서도록 하겠다는 계획이지만 뜻대로 이행될지는 의문이다. 노후돼 오염원을 배출하는 석탄 화력을 조기에 폐쇄키로 한 것은 마땅하지만 지역경제에 미칠 파장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대목이 아닐 수 없다.

석탄화력을 폐쇄만 하면 모든 문제가 해결될 줄 알았는데 뜻하지 않은 복병을 만난 격이다. 보령화력 폐쇄에 따른 지역경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대체산업 육성 등 준비할 게 많다. 지역민이 환경피해를 입어온 것도 억울한데 지역경제마저 망가져서야 되겠는가.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