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대 민간 체육회장 시대가 열렸다. 기대와 우려 속에 지난 16일까지 대전과 세종, 충남·북 등 충청권에서 추대나 경합을 통해 민간 체육회장이 모두 뽑혔다. 자치단체장이 겸임해 오던 체육회장을 민간이 맡게 되면서 지자체 체육회가 정치·행정으로부터 보다 자유롭게 됐다. 민간 체육회 시대를 열었다고는 하지만 해결해야 할 과제는 한 둘이 아니다.

이번에 선출된 민간 체육회장 상당수가 전문 체육인이 아니란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대부분 지역 경제인 출신이 대거 선출되면서 재력과 경영 능력을 평가한 선거란 지적을 받았다. 재력가가 아니면 출마에 엄두조차 내지 못한 구조 탓이다. 선거에 출마하기 위해선 3000만 원에서 5000만 원을 내도록 한 기탁금 제도는 체육인들에겐 장벽이었다. 선거에서 떨어지면 기탁금을 고스란히 날리게 되는 규정은 정치와 체육의 분리란 취지를 살리지 못했다.

2023년 2월까지 임기가 보장된 민간 체육회장이 당장 해야 할 일들은 수두룩하다. 우선 임의단체로 돼 있는 체육회를 법인화하는 게 시급하다. 지자체 눈치를 보며 보조금에 의존하던 체육회에서 벗어나 지자체로부터 자체 예산을 받기 위해선 법인화를 서둘러야 한다. 체육회의 경영을 위한 지자체 소유의 공공체육시설 운영권 논의도 필요하다. 이렇다 할 수익구조가 없는 체육회로선 가장 큰 숙제가 아닐 수 없다. 지방 체육단체의 후원 제도 법제화와 국민체육기금 지방체육회 정률 배분 등도 필요하다. 체육회의 재정 안정화에 필요한 제도란 점에서 법 개·제정을 통해 반드시 도입해야 할 숙제다.

민간 체육회장이 무보수 명예직이기 때문에 지역 체육발전을 위해 그다지 헌신하지 않을 것이란 부정기류도 형성되고 있다. 이를 계기로 정치적 발판을 삼으려 한다는 것이다. 당초 취지를 벗어난 행태에 대한 제어장치가 없는 점이 이런 우려감을 키운다. 민간 체육회 시대를 맞이한 만큼 독립성과 전문성을 갖춘 기구로 거듭나길 바랄 뿐이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