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정국이 본격화되면서 신당 창당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이미 `새로운보수당`과 `대안신당`이 출범을 알렸고, `미래를 향한 전진 4.0` 등이 창당 준비 절차를 밟고 있다. 또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주 내용으로 하는 선거법이 이번 총선부터 적용되면서 `결혼미래당`, `국가혁명배당금당` 등 원내 진입을 노리는 이색정당들도 점차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대통령 중심제에서 다당제가 타당한가라는 원론적 문제 제기와는 별도로 다양한 정책과 생각을 가진 이들의 정치세력화란 차원에서 긍정적인 관점에서 봐도 무방할 듯하다.

무릇 정당이란 독자적인 이념과 정강정책을 바탕으로 유권자의 동의를 구하고 세력을 확장하는 것이 기본이다. 민주주의가 발달한 서구의 사례에서 보듯 정당의 이념과 정책적 지향점에 따라 유권자들이 반응하기 때문이다. 경제나 환경, 복지 등 그 지향점이 무엇이든 간에 판단의 근거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선택을 받아들여 정치세력을 형성한다는 얘기다. 하지만 4·15 총선을 눈앞에 두고 일부 정당들은 정당 가치를 논하기 전에 통합용, 선거용 창당에 주안점을 둔 경우가 있어 유권자들을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 당 대 당 통합이라는 선전효과와 공천 지분 확보를 겨냥한 창당과 이합집산이 거리낌 없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창당선언문의 잉크도 마르기 전에 다른 정당과 통합을 얘기하는 것은 오로지 선거공학적 측면만 따지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우후죽순 신당이 생겨나는 것은 우리 정치의 역동성을 말해주기도 하지만 한편으론 정치 불신을 조장한다는 측면에서 보면 탐탁지 않은 일이다. 툭하면 갈라서고 막히면 합치자는 정치권의 이합집산은 정치를 희화화하는 것이다. 정강정책이나 지향점이 다른 데도 불구하고 `묻지마 통합`을 얘기하는 것 자체가 우리 후진적 정치의 한 단면이다. 겉으로는 정치개혁을 말하면서 한편으론 통합 지분다툼이나 벌인다면 누가 그 당을 지지하고 미래를 맡기겠는가.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