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수도 완성에 '정치권 책임 다했나' 의문

장중식 세종취재본부장
장중식 세종취재본부장
결론부터 말하자. 세종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딱 두 가지다.

행정수도로서의 세종의 현 주소는 어디쯤 와 있는지, 그와 같은 과업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어떤 정치인이 세종에 와야 하는 가에 있다.

수도 이전과 헌법개정 등 정권이 바뀔 때마다 출렁거렸던 `세종시의 운명`은 갖가지 이유와 명분싸움에 휘말려 왔다. 2019년이 저물어 가는 지금도 후유증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세종시민은 물론, 정치권을 향해 명실상부한 행정수도로서 세종시가 안착을 했느냐고 묻는다면 `예, 아니오`로 답할 수 있는 사람은 몇 명이나 있을까. 단답형 질문이 어렵다면 점수로 환산해서 몇 점을 줄지 묻고 싶다.

행정안전부와 기재부 등 정부 주요부처 이전과 함께 공공기관 지방이전 정책에 따라 수도권에서 혁신도시 및 세종시 등으로 이전하도록 계획된 153개 공공기관이 올해 안으로 마무리 된다고 하지만, 눈에 띌 만한 것들이 세종에 왔느냐도 여전히 의문이다.

이전 규모만 보더라도 그렇다. 정부가 공언한 혁신도시 112개(4만 2000명) 중 세종시로 이전하는 공공기관은 19개 (4000명 규모)에 불과하다.

국민청원까지 올려가며 기대했던 청와대 세종집무실은 슬그머니 꼬리를 감췄고, 국회 세종의사당은 당리당략에 휘말려 설계비 예산 10억을 올리는 선에 그쳤다.

여야를 떠나 위정자들은 이구동성으로 `행정수도 세종 완성`을 주장했지만, 그에 걸 맞는 지원사격을 했는지 가슴에 손을 얹고 생각해 볼 일이다. 세종을 지역구로 둔 집권당 대표까지 공약으로 내세웠던 사업들이 줄줄이 국회 문턱을 넘어서지 못하거나 정부 가이드라인에서 제외되는 수모까지 겪었다.

민주당 소속의 이춘희 세종시장이 홀로 외로운 길을 걷고 있다. 중앙당으로, 충청권 광역지자체로 동분서주하는 모습이 안스러울 정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종시를 향한 정치권의 야심은 21대 총선을 통해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

우여곡절 끝에 사실상 분구가 확정적인 세종시 선거구에서 후보자로 떠오른 인물들이 출사표를 던지며 외치는 구호도 한결 같이 `행정수도 세종`의 완성이다.

정치호사가들의 안주거리로 치부할 수 있지만, 이해찬 대표의 불출마로 무주공산이 된 세종 선거구에 거론되는 인물들을 살펴보자.

당 대표는 물론, 전 현직 총리까지 하마평에 올라있다. 정치권 복귀를 앞둔 이낙연 국무총리를 비롯,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 이완구 전 총리와 김동연 전 부총리까지 거론될 정도다.

여기에 사실상 분구가 확정됨에 따라 갑을 선거구 중 어느 한 곳은 전략공천을 할 것이라는 기대감도 높아진다.

본인의 의사와는 달리 이들의 이름이 거론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다름아닌 세종의 명분과 표심이 흔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

세종이 갖는 정치적 위상은 우리나라 `정치1번지`로 꼽히는 서울 종로에 견줘도 지나침이 없다. 세종이 가지는 명분, 그 이유 하나만으로 충분하다.

더욱 중요한 것은 세종의 발전을 바라는 시민들의 기대감이다. 세종시 탄생과정부터 정착 과정까지 일련의 역사를 지켜 본 사람들은 그 어느 때보다 중량감 있는 인사가 배출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이낙연-황교안` `이완구-김동연` 빅매치설 등 그 어느 것도 좋다. 분명한 것은 이들이 과연 세종을 위해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살펴보자는 얘기다. 설사 기대에 못 미치더라도 향후 구상과 실천계획만큼은 반드시 검증해야 한다.

필요하다면 불꽃 튀는 토론을 벌여야 한다. 늘어나는 의석을 하나라도 더 차지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후보자를 내세운다면 오산이다. 후보자들은 여야를 떠나 실현가능한 공약을 발표하고 로드맵을 제시해야 한다. 표심은 선거결과로 이어진다. 하지만 이번 만큼은 반드시 과정에 대한 사전평가를 해야 한다.

그 자리에서 세종을 바라보는 후보자의 확고한 소신, 그리고 무엇을 어떻게 생각하고 이뤄낼 것인지를 밝혀야 한다. 그것이 세종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다.

장중식 세종취재본부장

장중식 / 세종취재본부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장중식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