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부동산 시장 광풍의 시발점은 어디서부터 일까. 부동산 전문가들은 통상 세종이 투기과열지구로 묶이면서 도화선이 됐다고 분석한다.

세종으로 흐르던 부동산 투자가 멈추게 되는 계기를 마련했고, 갈 데 없는 자본은 대전으로 흘렀다. 마침 대전은 주택공급이 메말라 있던 차였다. 신축 공동주택의 수요가 가득했을 시기다. 광역도시라는 `급`을 감안해도 주택가격은 상대적으로 낮아 저평가돼 있었다. 이로써 조건은 성립됐다. 이른바 `외지 투기세력`이 난립하기 위한 조건 말이다.

2018년 9월쯤이었다. 서구 둔산동 대장주로 불리는 한 공동주택 가격이 급등하기 시작했다. 1990년대 초 지은 공동주택 가격이 갑자기 오르기 시작하니, 시민들은 의구심을 나타냈다. 누가 올려서 팔았는지, 누가 그것을 샀는지, 왜 오르는지가 궁금했다. 해당 공동주택은 지난 10월 기준 15억 원(전용 164.9㎡)에 거래됐다. 통상 7억-8억 원대에 거래되던 곳이 1년 새 2배 가까이가 뛰었다.

"싼 가격에 형성된 매물을 거둬들여서 가격을 올려 파는 겁니다. 싹쓸이죠. 싹쓸이"

취재 중 만난 공인중개사가 한 말이다. 외지 투기세력이라고 칭하는 이들은 팀을 꾸려 한 공동주택 단지의 매물을 대부분 매수한 뒤, 품귀현상이 빚어지면 가격을 올려 다시 매도하는 방식으로 주택 가격을 끌어올린다. 주택수요자는 가격이 오를 대로 오른 매물을 매수하게 되고, 처음 가격을 올려 팔았던 투기세력은 수익을 챙겨 시장에서 빠진다. 대전 부동산 시장의 매수심리를 이용한 셈인데, 올바른 과정을 거쳐 형성된 가격이 아닌 터라 이는 부동산 질서를 흐릴 수 있다.

그럼에도 거래는 계속되고 있다. 소위 `막차를 타는 사람들`이다. 순수 실거주가 목적인 이들이라면 그나마 괜찮다. 그러나 부동산 수익을 좇기 위한 이들이라면 자칫 `가격 거품`을 그대로 떠안을 수 있다. 여하튼 외지 투기세력이 대전 부동산 가격을 올려놓고, 이제 그 주택을 대전시민이 거래해야 하는 구조가 됐다. 누가 막차를 타게 될 것인가. 신중한 판단이 필요한 시점이다.

취재 2부 김대욱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