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활력 찾기 위한 특단의 대책과 전략 마련돼야

맹태훈 취재2부장
맹태훈 취재2부장
2019년 기해년(己亥年)이 저물고 있다. 한국사회는 올 한 해 성과도 있었지만 경기불황이 짙어지며 대내외적으로 불확실성이 커졌다. 미중 무역 분쟁과 반도체 업황 부진이 맞물리며 수출은 내리막길을 탔고 경제성장률은 제자리걸음으로 내수경기 침체를 불러왔다. 연이은 남북-북미 정상회담에도 한반도의 긴장 완화는 아직 갈 길이 멀어 보인다. 일본의 수출규제로 촉발한 한일 간 갈등과 장기화된 조국 국면도 대내외적으로 파열음을 주기 충분했다. 대전시도 또한 다사다난 했던 한 해였다. 집값 급등에서부터 세종으로의 인구유출 지속,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채용 확대 등 굵직한 현안 해결까지 온탕과 냉탕 사이를 넘나들었다.

그중 시민들의 최고 관심사는 주요 현안사업의 성패와 속도감이었을 것이다. 특히 연말을 앞둔 시점에서 굵직한 현안들에 대한 낭보가 이어져 신성장동력의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그동안 대전시정의 발목을 잡았던 현안들이 해결되거나 해결 기미를 보이는 것이다. 우선 혁신도시법 개정안 통과가 첫 단추로 끼워졌다.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채용 의무화를 담은 이 개정안이 지난 10월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 서다. 이 개정안에 따라 지역 대학 졸업생들이 대전에 소재한 공공기관에 내년부터 우선 채용된다. 혁신도시 지정을 위한 첫 관문 통과도 고무적이다. 대전과 충남지역에 혁신도시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한 법률 개정안이 지난달 28일 국회 상임위원회 법안 소위원회를 통과했다. 향후 상임위 전체회의와 법제사법위원회, 본회의 등 넘어야 할 산이 많지만 이번 법안 소위 통과로 공공기관의 대전 추가 유치에 청신호가 켜진 셈이다. 지난달에는 또 세계지방정부연합 총회 유치라는 희소식도 전해졌다. 총회는 2022년 열릴 예정으로 1993년 대전엑스포 이후 대전에서 개최되는 최대 규모의 국제행사다. 대전을 마이스산업의 메카로 발돋움시킬 주요한 변곡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렇다고 두드러진 성과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시는 올해 들어 스타트업 파크 조성 공모 사업과 규제자유특구 지정, 네이버 제2데이터센터 등 전국 단위 공모사업에 연이어 고배를 마셨다. 다행인지 몰라도 지난달에는 대전의 바이오메디컬 분야가 2차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됐지만 국정감사와 행정사무감사 등에서는 시의 전략 부재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유치 전략뿐만 아니라 연이은 공모사업의 탈락은 시정의 신뢰도 하락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얘기다. 원인 분석에 이은 대책 마련 주문도 잇따랐다. 답보상태에 머무른 주요 시정들도 과제로 남았다. 대전의료원 건립사업이 대표적인데 2016년 기획재정부를 상대로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했으나 제외됐고,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내놓은 예타 조사보고서의 조율도 이뤄지지 않는 등 속도가 더디다. 공공의료 사각지대에 놓인 대전 동부권역 주민들의 숙원이 좀처럼 풀리지 않고 있는 것. 대전 원도심 활성화의 핵심 축인 대전역세권 개발도 지지부진하긴 마찬가지다. 그동안 세 차례에 걸친 공모에서 민간사업자를 찾지 못했고, 4차 공모 또한 기업의 참여를 이끌 수 있을지 미지수이다. 사업이 답보상태에 머물며 부동산 과열 등 부작용만 초래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보문산 개발도 밑그림 수준에 머물고 있다. 개발의 찬반 목소리를 아우르는 공론화 작업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각종 현안 사업의 차질은 도시 성장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나아가 서민 경제에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는 만큼 특단의 대책이 요구된다. 가뜩이나 대전은 세종시로의 인구유출이 가속화되고 있다. 2015년 이후 연평균 1만 6000명이 세종으로 빠져나가며 시 출범 이래 최대의 위기에 직면해 있는 상황이다. 대전의 성장 엔진을 점검하고 속도를 올려야 하는 시점에 놓인 것이다. 앞서 언급한 성과에만 안주할 수 없다는 얘기다. 2020년 경자년(庚子年) 새해 대전시정이 더욱 안정 궤도에 진입하고, 지역경제도 활력을 찾아 풍요가 넘치는 한 해가 되길 기대한다. 맹태훈 취재2부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