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대전일보DB]
[사진=대전일보DB]
대덕연구개발특구 내 정부출연연구기관과 연구소에서 연이어 화재·폭발사고가 발생하면서 연구기관의 안전불감증이 도마 위에 올랐다. 위험성 높은 실험에 대한 안전대책조차 수립되지 않은 곳이 있는가 하면, 미흡한 재발방지책 이행으로 같은 유형의 사고가 연이어 발생하기도 했다.

국방과학연구소는 지난 13일 발생한 제1추진연구실험실 폭발사고와 관련해 14일 2차 브리핑을 진행했다. 이날 국과연에 따르면 폭발은 젤 추진 연소시험 과정에서 젤 추진제인 니트로메탄 유량확인 도중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문제는 젤 추진연구기술에 대한 안전대책이 별도로 마련돼 있지 않았다는 점이다. 젤 추진연구기술은 기존에 개발되지 않은 최첨단기술로, 내부적으로 위험성이 비교적 적다고 판단했으며 고체나 액체 연료 기술과 달리 뚜렷한 안전사고 대응책이 수립돼 있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한이수 국과연 대외협력실장은 "이번에 폭발사고가 일어난 추진제 개발기술은 이전에 없던 새로운 기술로, 아직 실험관련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지 않아 안전수칙이 규정화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연구개발 방법이 기존과 달라 관련 안전규정이 없는 경우, 실험 주체가 실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안전대책을 강구하도록 한 규정이 있지만 이마저도 이행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국과연을 비롯해 대덕특구 내 연구기관에서도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이보다 먼저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는 사고 재발방지대책의 수립·이행이 미흡해 1년 여의 간격을 두고 똑같은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기도 했다. 지난 1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응용공학동 실험에서는 염소가스가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지난해 10월에 발생한 사고가 똑같이 반복됐다는 점에서 재발방지책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7월에는 대덕연구단지 내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계측기기동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인명피해는 없었으나 3400여만 원의 재산피해를 냈다.

지난해 10월 유성구에 위치한 한국화학연구원도 폐시약이 보관된 창고에서 화재사고가 발생했다.

지난 7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최근 5년 출연연 안전사고는 연평균 12.6건 발생했다. 연도별로는 2015년 10건, 2016년 22건, 2017년 11건 등이다. 지난해와 올해(8월 기준)도 사고발생 건수는 각각 11건, 9건이 발생, 총 63건에 달하는 안전사고가 일어났다.

이같은 상황에서 최근 연구실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법안이 발의되기도 했다.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이상민 의원은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을 발의하고, 연구실안전 전문기관 설립, 안전관리 체계 개선, 연구실 안전전문자격 신설 등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주재현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주재현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