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의 사업화를 끌어내기 위해선 대덕특구 내에 기업활동 부지를 추가 확보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구는 쾌적한 연구환경 탓에 전체 면적(67.45㎢) 중 녹지구역(39.89㎢)과 교육·연구용(16.11㎢) 부지 비율은 높은 편이나 연구성과를 기반으로 제품·서비스 사업화·상용화를 위한 산업육성 구역(6.4㎢)은 10%도 채 되지 않는다.

기업활동 공간이 부족하다 보니 기술 이전이나 테스트베드 구축사업을 타 시도에 맡기는 안타까운 일까지 벌어지기도 한다. 출연기관 입장에서도 가까이 있는 기업에서 기술 이전을 받고 상용화해야 협업이 용이하지만 그렇지가 못한 상황이란 얘기다. 개발된 기술이 유출될 우려도 큰 만큼 포화 상태인 산업육성 구역을 추가 확보하는 일이 과학기술계 최대 과제가 아닐 수 없다. 거론되는 곳으로는 교육·연구용 부지 위주의 1 지구와 녹지비율이 높은 4 지구의 면적을 조정해 기업활동 부지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견해가 우세하다. 연구성과의 사업화를 이끌어낼 기업활동이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이뤄져야 함은 당연한 이치다.

연구개발 인프라와 기술이 집적돼 있는 대덕특구를 대전의 성장 동력으로 활용하지 못한 점은 아쉽기 그지없다. 특구는 창업기업을 육성하고 기업을 유치하는데 타 지역이 갖지 못하는 대전만의 강점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이를 잘 활용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대전시가 특구의 토지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추진하는 대덕특구 재창조 사업에 면적 조정도 포함하면 효과가 극대화될 것은 자명하다. 마침 정부도 신기술 규제 실증 테스트베드를 구축해 새로운 기술과 제품, 서비스에 대한 규제 특혜를 받도록 하겠다고 해 기대가 크다.

대전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선도 도시이자 4차 산업특별시를 표방하고 있다. 그 중심엔 대덕특구가 자리하고 있음을 부인하긴 어렵다. 대덕특구가 첨단 신기술 상용화의 메카가 되기 위해선 기업활동 공간이 반드시 더 필요하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