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 전경 [연합뉴스]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 전경 [연합뉴스]
대전 지역 과학기술계에서 대덕연구개발특구의 면적 조정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를 키우고 있다. 교육·연구용 부지 위주의 1지구와 녹지비율이 높은 4지구의 면적 조정을 통해 특구 연구성과의 사업·상용화를 이끌 기업활동 부지를 마련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10일 대전시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등에 따르면 대덕특구 총 면적은 67.45㎢다. 이는 토지용도에 따라 △녹지구역(미개발지 포함) △교육·연구 및 사업화시설 구역 △산업구역 △주거구역 △상업구역 등으로 나눠진다.

대덕특구는 1970년대 조성 당시 쾌적한 연구환경에 초점을 맞춰 구성됐다. 이 때문에 녹지구역(39.89㎢·59.2%)과 교육·연구용 부지비율(16.11㎢·23.9%)이 높은 반면 연구성과를 기반으로 제품·서비스 사업화와 상용화를 도맡을 기업 활동 부지가 상대적으로 적은 부분을 차지한다. 실질적 기업활동 공간인 산업육성구역은 6.4㎢로, 10%도 채 되지 않는다.

문제는 산업구역 부지는 이미 포화상태로 더 이상 연구기관과 소통·교류·협력할 기업이 추가로 자리잡기 어렵다는 점이다. 아직 미개발지구인 4지구의 경우도 전체 면적 28.24㎢가 전부 녹지구역으로, 산업용도로서 활용되기는 어렵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최근 지역 과기분야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면적 조정을 통해 기업활동을 위한 부지를 새로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정부출연연구기관이 다수 입주해 있는 대덕연구단지 내에 산업육성구역을 추가로 확보하지 않는다면 기술이전·테스트베드(기술 시험 시스템) 구축 등 사업이 타 시·도로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대덕특구 내 한 출연연 관계자는 "출연연 입장에서도 가까이 위치해 있는 기업에서 기술이전을 받고 상용화해야 협업이 용이해진다"며 "현재 대덕특구에는 기업활동의 첫 번째 조건인 부지가 없어, 기술이전·테스트베드 구축 사업을 타 시·도에 맡기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홍순규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지역혁신본부장은 "연구성과의 사업화를 이끌어낼 기업활동이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활발해져야 한다"며 "기술이전, 제품 및 서비스의 상용화를 목적으로 한 기업과 연구기관 간 활발한 소통·협력을 위해 1지구에도 산업용 부지가 추가로 마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당시 후보였던 허태정 시장은 "4차산업혁명특별시 완성, 대덕특구 발전을 위해 구역 재조정 등 변화가 필요하다면 전향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지만, 현재 시가 추진중인 대덕특구 재창조사업에는 면적 조정에 대한 계획은 포함되지 않았다.

시 관계자는 "대덕특구 토지활용도 제고를 위한 측면에서 재창조사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아직까지 면적조정에 대한 논의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한편 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에 따르면 각 시·도지사는 특구의 본래 목적이 변경되지 않는 범위에서 면적이나 위치의 변경으로 인한 특구의 변경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에게 요청할 수 있다.주재현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주재현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