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박석무 편역/356쪽/ 1만 4000원

1979년 초판이 나온 이래 다산 정약용을 만나는 가장 친절한 통로 역할을 해온 국민 교양서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가 발간 40주년을 기념해 새롭게 출간됐다. 고전 스테디셀러로 자리잡은 이 책은 정약용이 유배 시기에 가족과 지인들에게 보낸 편지들을 엮은 것으로, 훌륭한 지성인이자 아버지였던 인간 다산의 면모를 볼 수 있다. 200여 년 전 척박한 남도 땅에서 유배생활을 했던 한 외로운 학자의 편지가 이렇듯 오랜 기간 생명력을 가진 이유는 무엇일까? 물론 다산 정약용은 오늘날 조선 후기 최고의 사상가로 평가된다. 경학(經學)과 경세학(經世學)에서 그 누구도 따라올 수 없을 만큼 빛나는 저술들을 남겼고, 짧지만 출세를 통해 뛰어난 재능을 실천했다. 이번 개정판에서는 지방관 이종영에게 주는 글을 새롭게 추가했고, 시대 변화에 맞춰 번역과 체제, 장정을 정비했다.

40년간 4차례의 개정을 거치면서 책을 끊임없이 가꿔온 편역자 박석무는 70년대에 이 책을 엮어냄으로써 `다산 전문가`로 이름을 알렸다. 대학원 과정에서 다산의 법사상으로 졸업논문을 작성했으나, 정작 그가 가슴으로 다산을 받아들인 것은 자신의 삶이 격랑에 휩싸이면서부터였다. 민주화운동에 투신해 4차례나 옥고를 치렀던 그는 어둡고 불안한 감옥생활에서 희망을 잃지 않기 위해 손에서 다산을 놓지 않았다. 유배생활 속에서 학문을 성숙시킨 다산처럼 그의 다산 연구도 감옥 안에서 영글었던 것이다. 200년이라는 시차를 사이에 두고 각각 시대의 고뇌와 민중의 아픔을 껴안고 고민해온 두 학자의 소통이 이 책에 오롯이 담겨 있다.

그중에서도 가장 감동적인 것은 단연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아들들에게 주는 편지글이다. 다산은 멀리 떨어져 있는 두 아들이 실의에 빠지지 않도록 늘 엄격하게 격려했다. 이 편지들에는 세상을 어떻게 살아야 하며 무슨 공부를 어떤 방법으로 해야 하는지에 대한 빛나는 명언들과 함께, 불의와 조금도 타협하지 않는 다산의 매서운 선비정신이 담겨 있다. 편지를 읽다보면 참다운 길을 가도록 준엄하게 꾸짖는 다산의 음성이 귓전에 들리는 듯하지만, 그 속에는 애끊는 부정(父情)이 넘친다.

또한 어렵고 어두운 유배생활에서 자신의 고달픈 삶을 토로하지 않으면서도 아들들이 훌륭한 사람으로 성장하기를 간절히 원하는 아버지의 바람을 자상히 기술하고 있어 마음을 울린다. 패배감에 그치지 않고 더 올곧은 삶을 살아가기로 결심하고 그것을 아들들에게 권하는 모습에서는 다산다운 강인한 기개가 느껴진다.

두 아들에게 주는 가훈에는 생계를 꾸리는 방법, 친구를 사귈 때 가려야 할 일, 친척끼리 화목하게 지내는 방법 등 다산의 생활철학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또한 다산 자신의 저서를 후세에 전해달라는 전언과 함께 저술의 과정과 원칙을 정제해 제시하고 있어, 다산 사상의 큰 줄기를 압축해놓은 글로 읽기에 유익하다.

다음으로는 정약용의 강진 유배와 비슷한 시기에 흑산도에서 유배 생활을 하던 둘째형님 정약전에게 보낸 편지들을 실었다. 이들 형제는 유배 중에서도 서간을 주고받으며 변함없는 우애를 나누었다. 정약용은 자신보다 더 외로운 유배생활을 하고 있는 형님의 건강을 염려하고 지극한 마음을 전한다. 특히 두 형제는 심도있는 학문 주제에 대한 의견을 주고받으며 유배지에서도 학자로서의 자세를 잃지 않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성실함을 바탕으로 `목민심서` 등 정약용의 빛나는 저작들이 탄생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형과 아우가 동시에 불행한 유배생활을 하면서도 이에 굴하지 않고 서로 학문적 깊이에 탄복하며 인생을 토로한 높은 수준의 서간문학이다.

마지막 장은 정약용이 제자와 지인에게 써 보낸 글을 선별한 것으로, 자상한 스승의 마음씨와 더불어 다산의 넓고 깊은 학문세계가 드러난다. 지방관 이종영에게 남긴 두 편의 글은 다산이 실학자로서 얼마나 튼튼한 현실주의적 사고와 실학사상을 지녔는지 보여주며, 진정한 스승과 제자의 관계가 무엇인지 혼란스러운 오늘날 곱씹어볼 말로 가득하다. 조수연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조수연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