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 2부 김대욱 기자
취재 2부 김대욱 기자
요즘은 어딜 가나 부동산 얘기가 주를 이룬다. 어느 지역의 어느 공동주택이 얼마가 올랐는지, 왜 오르는지, 언제까지 오를 것인지, 그 곳에는 누가 사는지. 대전이니 그럴 만 하다. 시시콜콜한 잡담일 수 있지만, 꽤나 관심이 가는 주제다.

대전 집값은 지난 1년 간 오름세다. 한국감정원 통계를 살펴보면 지난해 8월부터 지난달까지 대전 공동주택의 매매가격 상승률은 5.46% 였다. 전국 시·도 17곳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뒤를 이은 광주(1.52%)와도 3.94%포인트가 차이났다. 세번째는 대구(0.91%)였는데, 순서로는 `대·광·대`지만, 어쨋든 `대·대·광`이 나란히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대전 주요 단지 분양권은 `억대 웃돈`이 붙었고, 거래되고 있다. 지난 3월 분양한 유성구의 한 공동주택(전용 104㎡)은 최대 4억 200만 원이, 다른 공동주택(전용 84㎡)은 최대 3억 3189만 원이 붙어 거래됐다. 분양가의 절반 넘는 금액이 웃돈으로 얹혀진 셈이다. 청약도 과열이다. 올해 분양한 공동주택 5곳은 모두 완판 행렬을 이었고 일부 단지는 100대 1을 넘는 경쟁률을 세웠다.

왜 그렇게 올랐고, 열광할까. 누군가는 상승요인 중 하나로 대전 부동산의 저평가를 꼽았다. 한동안 세종으로 주택수요가 몰리면서 대전의 집값을 상승시킬 요인이 없었고, 지금의 상승현상은 그 시간 만큼 오르지 못했던 집값이 정상화되는 과정이라는 것이다. 정리하자면 `저평가에 따른 정상화`다.

모쪼록 이해하기 어려운 말이다. 한번 더 풀어 생각해보면 저평가라는 것은 집값이 낮게 형성돼 있다는 의미를 포함할테고, 낮았던 집값이 오르는 것을 정상화라 표현했다. 응당 올랐어야 한다는 시각이 내재돼 있다.

누가 대전의 집값을 두고 저평가란 단어를 처음 사용했는지는 모르겠다. 아마도 그 말을 쓴 이들은 최소한 거주를 목적으로 한 무주택자나 실수요자가 아닐 것이다. 본인의 이름으로 된 집이 없는 이들이라면, 지금 대전의 집값을 두고 정상화라는 말을 쓰진 않을테니까 말이다. 집은 거주가 주목적이 돼야 한다. 재산재라고 해서 투기의 대상으로 삼아선 안된다. 집값을 바라보는 시선을 달리할 필요가 있다. 취재 2부 김대욱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